사회 사회일반

기업 70%, 여전히 이력서에서 출신학교 묻는다

표준이력서 도입 및 입사지원서의 개인신상 항목에 대한 조사./출처=사람인표준이력서 도입 및 입사지원서의 개인신상 항목에 대한 조사./출처=사람인


‘블라인드 채용’이 확대되는 추세지만 기업 10곳 중 6곳은 여전히 이력서에서 사진, 성별, 출신학교 등의 항목을 제외할 의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은 기업 528개 사를 대상으로 사진, 성별, 출신학교 등이 빠진 ‘표준이력서’ 도입 및 입사지원서의 개인신상 항목에 대해 조사한 결과, 61.9%의 기업이 표준이력서 도입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고 14일 밝혔다. 반면 여전히 많은 기업(88.4%)이 입사지원서에 개인신상 항목을 포함하고 있었다.


가장 많이 포함된 개인신상 항목은 ‘연령’으로 82.4%(복수응답)가 이력서에서 이를 묻는다고 답했다. 이어 ‘출신학교’(69.8%), ‘성별’(69.8%), ‘사진’(67.7%), ‘혼인 여부’(34.3%), ‘가족관계’(32.3%), ‘혈액형’(9.9%), ‘가족 신상’(9.4%), ‘키’(9.4%), ‘종교’(8.4%), ‘체중’(7.1%) 등을 입사지원서에서 물었다.

관련기사



이런 항목들을 집어넣는 이유로 기업은 ‘지원자 본인 확인 등을 위해서’(51.8%, 복수응답), ‘지원자의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서’(36.2%), ‘업무에 필요한 요건이라서’(34.0%), ‘인사 정책상 필요한 항목이라서’(19.7%), ‘조직 적응과 관련된 조건이라서’(19.3%), ‘전부터 물어보던 항목이라서’(15.0%) 등을 꼽았다.

또 기업들은 이들 항목 중 평가에 실제 반영되는 것들로 ‘연령’(55.5%, 복수응답), ‘성별’(39.4%), ‘출신학교’(34.3%), ‘사진’(18.8%), ‘혼인 여부’(9.0%), ‘가족관계’(7.5%), ‘가족 신상’(3.2%), ‘종교’(2.8%) 등을 지목했다.

지원자가 개인신상 항목을 누락했을 때 기업들은 ‘감점 처리’(28.1%)하거나 ‘무조건 탈락시킨다’(13.1%)고 답했다. ‘불이익이 없다’는 기업도 58.9%였다.

장아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