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암인줄 알았는데…" 건강염려증 환자 한해 4,000명

심평원 "건강염려증, 개인·집단 상담만으로도 증상 호전"

건강염려증 환자 연령대 비율/연합뉴스건강염려증 환자 연령대 비율/연합뉴스


사소한 증상에도 ‘몸에 큰 병이 생긴 것 같다’고 걱정하는 ‘건강염려증’은 전체 인구의 5%가 겪는 것으로 추정될 정도로 흔한 장애다. 건강 염려증으로 실제 병원을 찾은 사람도 한해 4,0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3일 지난 2016년 병원에서 건강염려증(상병코드 F452)으로 진단받은 사람이 총 3,817명이라고 밝혔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가 21%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고 50대 19%, 40대 18%, 70대 13.7% 등으로 건강 문제가 생기기 시작하는 중·고령층이 많았다. 20대와 30대 환자도 각각 11%, 9%를 차지했으며 10대와 80세 이상도 각각 3.6%, 4%를 차지하는 등 건강염려증은 특정 연령대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었다.

관련기사



심평원에 따르면 건강염려증 환자는 신체적 불편에 대한 민감도가 높다. 보통사람이 느끼는 감기 수준의 증상도 건강염려증이 있는 환자는 폐렴을 의심하게 되고, 정상적으로 만져지는 연골조차 혹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지나가는 증상에도 건강염려증이 있으면 통증으로 느껴진다.

건강염려증 환자들은 의사로부터 ‘이상이 없다’는 진단을 받아도 질병에 대한 걱정과 불안감에 다른 병원을 찾게 되는데 이런 상태가 6개월 이상 지속하면 건강염려증일 가능성이 크다. 심평원은 “건강염려증은 개인·집단 상담만으로도 증상이 호전된다”라며 “증상의 절반 이상은 ‘걱정’ 그 자체로 긍정적인 사고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연주인턴기자 yeonju1853@sedaily.com

김연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