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ADHD, 조기진단과 조기치료가 가장 중요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아동기에 주로 나타나는 소아정신과 질환으로 지속적으로 주의력이 부족하고 산만하며 과잉행동, 충동성을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증상들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아동기 내내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이 나타나며, 성인이 되어서까지 지속될 수 있다.

미국 소아정신과학회의 통계에 따르면 평균 학령기 소아의 ADHD 유병률은 약 3~8% 정도다. 남자 아이가 여자아이보다 3배 정도로 높은 것으로 나오며, 서울시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시행한 국내 역학조사 결과에서도 6~8%가 ADHD 증상을 보인다고 나타났다.

ADHD 증상을 가진 아이들은 유치원이나 학교에 가면 수업시간에 돌아다니거나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다른 것을 하며 쉬는 시간에는 장난을 심하게 하곤 한다. 이 같은 증상은 자라면서 조금씩 호전되기도 하지만 청소년기 이후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30~70%에 이른다. 다만 소년기로 접어들면 눈에 두드러진 과잉행동은 잘 나타나지 않아 부모님들은 괜찮아졌다고 여기는 것이다.


청소년기 이후의 ADHD 증상은 내적으로 산만한 특징을 나타낸다. 책상에 앉아 있지만 한 가지 일에 집중하지 못하고 여러 생각이 떠올라 일의 능률이 오르지 않는 것이 그 예이다. 수인재두뇌과학 분당센터 이슬기 소장은 “ADHD의 대표적인 특징에는 두 가지 증상이 포함되는데 이는 주의력 산만 및 혼란을 보이는 것이다. 주의를 유지하는 것의 어려움, 과제를 완성하지 못함, 과제 정리하는 것의 어려움 등이 있다”고 설명한다.

관련기사



이슬기 소장은 “ADHD 대처에 가장 중요한 것은 조기진단과 조기치료이다. ADHD 진단을 받았다고 너무 걱정하지 말고 꾸준히 치료를 받으면 주의력이 향상되고 충동이 감소 할 수 있다. 아울러 ADHD 아동은 복잡한 환경에서 주의가 흐트러지기 쉬우므로 가급적 단순하고 일관된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도록 생활계획표를 짜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되며 아이가 관심을 갖는 운동을 통해 넘치는 에너지를 건전하게 발산시켜주는 것도 좋다”라고 덧붙였다.

수인재두뇌과학은 ADHD, 자폐, 난독증 등에 대해 뉴로피드백, 바이오피드백, 감각통합 훈련과 같은 비약물 두뇌훈련 솔루션과 정기적인 상담을 제공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언어와 사고’ 실험실과 연구 협력을 수행하여 다양한 두뇌질환에 대해 개인 맞춤별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수인재두뇌과학은 현재 분당센터, 평촌센터, 동탄센터, 목동센터 4지점이 직영으로 운영되고 있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