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작년 국채 거래 3조원 줄었다...美·韓 금리인상 영향

기재부, 국채 백서 2017 발간



지난해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 등 영향으로 국채 거래량이 전년보다 3조원 감소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지난해 국고채 시장 동향 등을 설명한 ‘국채 백서 2017’을 발간했다.


작년 일평균 거래량은 13조2,000억원으로 전년 16조1,000억원보다 18.0% 감소했다. 국채 거래량은 2014년 10조9,000억원, 2015년 12조3,000억원, 2016년 16조1,000억원으로 꾸준히 늘었으나 지난해 상승세가 꺾인 것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작년에만 세 차례, 한국은행도 1번 금리를 올린 영향이 컸다. 북한의 핵 리스크도 시장 심리를 위축시킨 효과가 있었다.


외국인 투자는 대내외 리스크 우려에도 늘었다. 외국인 국내 채권보유 잔고는 98조5,000억원으로 전년보다 9조2,000억원 늘었다. 특히 장기투자 성향이 높은 외국 중앙은행 투자 비중이 52.7%에서 55.3%로 늘어나 외국인 투자가 질적으로 개선됐다.

관련기사



국고채 금리는 기준금리 인상, 대내외 경제지표 호조에 따른 경기 개선 기대감 등으로 상승했다. 지난해 말 기준 3년물은 1년 전보다 0.497%포인트 오른 2.135%, 10년물은 0.395%포인트 상승한 2.469%였다.

정부는 지난해 확정적 재정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100조8,000억원의 국고채를 발행했다. 전년(101조1,000억원)보다 3,000억원 줄었다. 중장기 재정자금을 안정적으로 조달하기 위해 20년 이상 장기물 발행 비중을 25.3%에서 30.1%까지 늘린 것이 특징이다.

정부는 또 차환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조기상환과 교환을 통해 올해 76조4,000억원에 이르렀던 국고채 만기도래를 47조9,000억원으로 분산했다.

/세종=서민준기자 morandol@sedaily.com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