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자, 모유 수유 첫 성공

호르몬과 약물요법으로 6주동안 모유로만 수유 가능량 분비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한 사람이 모유를 아기에게 수유하는 데 성공한 첫 번째 공식 사례가 미국에서 나왔다.

영국 BBC 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뉴욕 마운트시나이 성전환자 의학 및 수술 센터 연구팀은 약물요법 등으로 성전환한 여성이 6주 동안 모유만으로 영양을 공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게 젖이 생산된 사례를 학계에 보고했다. 올해 30세인 익명의 미국인(편의상 A씨로 지칭)은 남성으로 태어났으나 여성으로 성전환했고, 여성인 파트너와 살고 있다. A씨는 고환적출수술이나 가슴보형수술처럼 여성으로 전환하는 수술은 받지 않고 2011년부터 여성호르몬 투여 같은 성전환 치료만 받아왔다. A씨의 파트너 여성은 임신 5개월이 됐을 때 자신은 수유를 원하지 않는다며 A씨가 직접 모유를 수유할 길을 찾아보라고 권했다.


마운트시나이센터 의료진은 A씨에게 젖 분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프로게스테론(황체호르몬)과 에스트라디올(난소호르몬의 일종)을 투여했다. 또 펌프로 가슴을 자극하는 수유 처방도 하고, A씨가 젖 분비를 촉진하는 약물인 돔페리돈을 캐나다로 가서 구입, 복용토록 했다. 돔페리돈은 구역질과 구토를 완화하는 위장관운동촉진제이며 모유 분비 촉진 효과가 있다. 한국, 캐나다, 영국 등지에서 팔고 있지만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부정맥과 심근경색에 의한 돌연사 위험 때문에 판매를 금지한다.

A씨는 이 치료 한 달 뒤 젖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파트너가 아기를 출산하기 2주 전인 치료 3개월 뒤엔 젖 생산량이 하루 8온스(약 227g)로 늘어났다. A씨는 아기가 태어난 후 6주 동안 모유만 먹이다가 이후부터는 조제분유와 병행해 수유하고 있다. 연구팀은 생후 6개월째인 현재까지 아기 성장과 수유 및 배변습관이 정상이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또 A씨의 호르몬 상태는 전반적으로 안전하고 젖이 분비되지 않는 일반 여성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고환을 보유한 A씨는 몸에서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이 분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스피로놀락톤을 복용 중이다. 고혈압과 부종 치료 이뇨제인 이 성분은 인간 모유에도 포함돼 있다. 그동안 인터넷에선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한 사람 등이 자가요법으로 모유 분비와 수유에 성공했다고 밝힌 사례는 더러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진위가 확인되지 않은 가짜뉴스일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관련기사



의학자들이 학계에 공식 보고한 이번 첫 사례에 대해 획기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그러나 위험하고 불안한 일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보스턴메디컬센터의 성전환 의학자 조슈아 세이퍼 박사는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이번 연구는 “아주 대단한 일”이라며 앞으로 성전환 여성들에게 이 치료법이 매우 인기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영국의 성전환 여성인 마리아 클리포드는 “우리는 여성으로서 모두 같은 경험을 원하지만 이 모유가 호르몬이 없고 순전한 것인지, 아기에게 해롭지 않은지 등 추가연구와 증거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운트시나이 연구팀은 그간 투여한 약물 중 어떤 성분과 치료가 모유 생산에 가장 좋은 영향을 줬는지는 모른다면서 최적의 용량과 복용기간 등을 알아내기 위한 추가 연구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학술지 ‘성전환자 건강 저널’(Transgender Health journal) 최신호에 실렸다.[http://online.liebertpub.com/doi/pdfplus/10.1089/trgh.2017.0044]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