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게임장애, 질병 등재 안돼"…WHO에 발끈한 게임단체

"비과학적 시도" 반대 성명

"이용자 전세계 20억명 달해

입증할 임상 데이터는 전무"

국내 게임업계가 세계보건기구(WHO)가 추진 중인 ‘게임 장애’의 질병 등재에 대해 반발하고 나섰다.

국내 게임단체 8곳은 19일 성명을 내고 “WHO의 비과학적인 게임 질병화 시도에 반대한다”며 “WHO는 ‘국제질병분류기호개정(ICD-11)’의 게임 장애 질병 등재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성명에 참가한 단체는 한국게임산업협회와 한국인터넷기업협회, 한국모바일게임협회, 한국게임개발자협회, 한국어뮤즈먼트산업협회, 한국인터넷PC문화협회, 문화연대, 게임개발자연대 등이다.

관련기사



WHO는 오는 5월 ICD-11을 통해 게임 장애를 질병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WHO는 앞서 발표한 ICD-11 초안에서 게임 장애를 ‘다른 일상생활보다 게임을 우선시해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하더라도 게임을 지속하는 것’으로 규정했다. 장애 여부를 진단하는 기준으로 △게임에 대한 통제 기능 손상 △삶의 다른 관심사 및 일상생활보다 게임을 우선시하는 것 △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게임을 중단하지 못하는 것 등 3가지를 제시했다.

하지만 국내 게임업계는 게임 장애가 정식 질병으로 인정될 경우, 게임을 즐기는 아동·청소년과 게임 산업 종사자들이 질환자 혹은 질병 유발자라는 오명을 쓰게 됨에 따라 게임 산업이 심각하게 위축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들은 이날 성명에서 “의학계나 심리학계에서도 ‘게임 장애’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을 내린 바 없으며 정신질환 관련 기준이 되는 정신장애진단통계매뉴얼(DSM)에서도 ‘게임 장애를 정식 장애로 간주하기 이전에 더 많은 의학적 연구와 경험이 요구된다’고 명시하고 있다”며 “전 세계에서 온라인, 모바일, 콘솔 등 다양한 게임을 즐기는 이용자들이 약 20억명에 달하는 문화콘텐츠를 질병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 상식적 차원에서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아동·청소년이 질환자로 규정될 경우 청소년과 학부모들이 겪어야 할 피해와 그에 따른 사회적 혼란에 대해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4차 산업혁명의 한 축인 게임 산업 종사자들이 ‘질병 유발 물질 생산자’라는 오명을 쓰는 일은 절대로 없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앞으로 WHO의 게임 장애 질병 등재 철회를 위해 협력 관계를 구축해나가는 동시에 다른 나라의 관련 산업계와의 연계를 통해 WHO의 게임 장애 질병 등재 시도에 공동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