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낸드 가격 꺾이지만 슈퍼호황 "4년 더 간다"

[IHS마킷 반도체 시장 보고서]

2021년 GB당 0.08弗까지 하락

클라우드·서버 시장 수요 폭발로

2021년까지 슈퍼사이클 지속

대용량 프리미엄 제품으로 승부

2015A16 낸드


D램과 함께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양대 축’인 낸드플래시 가격이 올해부터 본격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에는 낸드플래시 가격이 지난해의 4분의 1 수준이 될 것이란 예상이다. 다만 가격이 떨어져도 낸드플래시 수요와 공급이 동반 상승하면서 2021년까지 전체 시장 매출은 슈퍼호황기이던 지난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관측됐다.

19일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낸드플래시 평균판매단가(ASP)가 2021년에 기가바이트(GB)당 0.08달러에 불과할 전망이다. 지난해 가격이 0.31달러였음을 감안하면 무려 74% 가량 빠지는 셈이다. IHS마킷은 낸드플래시 가격이 △2018년 0.24달러 △2019년 0.15달러 △2020년 0.10달러 등을 기록할 것으로 봤다.


근거는 공급 부족 해소였다. 낸드플래시 제조업체들이 생산능력을 높이면서 빡빡했던 수급 상황에서 벗어나게 된다는 것. 실제로 2016년 말부터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자 낸드플래시 가격이 2017년에만 전년대비 7.4% 뛰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매년 새로운 반도체 제품이 등장하면 기존 제품의 가격이 통상 30% 가량 떨어지는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한 해였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IHS마킷은 낸드플래시 가격이 시장 위축으로는 이어지지 않는다고 전망했다. 낸드플래시 시장매출은 지난해 538억달러에서 올해 592억달러로 증가할 것이란 예상이다. 2021년에도 561억달러에 달하며 꾸준히 500억달러선을 유지한다고 봤다. IHS마킷 관계자는 “같은 기간 낸드플래시 시장의 비트 그로스(비트 단위로 환산한 반도체 생산량 증가율)가 연평균 40%에 달할 것이라는 예상을 토대로 한 것”이라고 전했다. 낸드플래시 점유율 1위인 삼성전자(005930) 역시 1월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낸드플래시 비트 그로스를 40%로 예상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IHS마킷 분석에 일부 동의하면서도 가격보다 데이터 용량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클라우드, 서버 등에서의 획기적 데이터 용량 증가가 시장을 이끌고 있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가격이 절반으로 떨어져도 올해 1달러짜리를 1,000개 쓰다가 내년에 0.5달러짜리를 2,000개 쓰면 결과는 같은 것”이라면서 “가격 하락보다 데이터 수요가 제조업체들에게는 더 중요한 이슈”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낸드플래시 프리미엄 시장 탈환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데 이견이 없다. 가격 하락을 최소화하는 방법은 경쟁사가 제안할 수 없는 압도적 성능의 제품을 선보이는 것이기 때문. 비싼 걸 알고도 살 수밖에 없는 제품이 수익성과 직결된다. 현재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지난해 64단 3D 낸드플래시 중심의 대규모 증설투자를 벌여 충분한 양산 수율을 확보했고 제품 단에서는 차세대 슈퍼컴퓨터용 SSD, 256GB급 차량용 낸드플래시 등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뒤를 이어 도시바와 마이크론, 웨스턴디지털 등 경쟁사도 64단 3D 낸드플래시 대량 양산을 앞두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 낸드플래시 시장의 업체별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38%로 압도적인 1위였으며 △도시바 17% △웨스턴디지털 15% △마이크론 11% △SK하이닉스(000660) 11% △인텔 7% 등이다.

신희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