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바이오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한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이 성장하는 데 빅데이터 활용이 관건인 만큼 보건의료 분야의 공공데이터를 오픈하는 등 규제를 확 풀어 병원·연구소뿐 아니라 기업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서정선(66·사진) 한국바이오협회 회장은 19일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정부도 4차 산업혁명을 위해 의료 분야의 공공데이터를 빨리 풀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문제는 실행력”이라면서 “민첩하게 실행하지 않으면 알고 있어도 소용이 없다”며 신속한 규제개혁을 당부했다.
서 회장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바이오 시장을 주도해나갈 수 있는 요소를 가장 잘 갖춘 나라라고 강조하면서 바이오 분야 시장 확대와 창업을 통한 고용 창출을 위한 선결 과제로 빅데이터 개방을 꼽았다. 그는 “한국은 10만명의 잘 훈련된 의료진이 있고 잘 갖춰진 건강보험 시스템을 통해 방대한 전자의무기록(EMR)이 축적돼 있으며 무엇보다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정보기술(IT)이 뛰어나다”면서 “문제는 의료 데이터에 접근조차 할 수 없어 이를 활용한 창업과 신약 개발을 할 수 없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인공지능(AI) 의료영상정보 등 일부 데이터를 개방하고 있지만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 때문에 의료 빅데이터를 꽁꽁 묶어놓고 있다. 보건의료 분야 빅데이터 개방과 규제 개혁에 대한 요구가 빗발치자 보건복지부는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올 하반기부터 시범사업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정부가 추진하는 의료 분야 공공데이터 개방 범위가 영리 목적이 아니라 연구 등 공적인 목적으로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서 회장은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DB) 등 공공데이터를 오픈하되 의료정보와 개인정보의 경계를 명확히 해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를 악용하면 엄벌에 처해야 한다”면서 “기업이 영리 목적으로 공공데이터를 사용하려면 미국처럼 해당 기관과 상의하고 허가를 받도록 하는 등 시스템을 만들면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현 상황은 규제 몇 개를 찔끔찔끔 풀어서 될 게 아니라 통째로 바꾸고 과감하게 실행해야 할 때”라면서 “2~3년 내에 뭔가를 만들어내지 못하면 글로벌 주도권을 놓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 회장은 바이오 빅데이터 개방·활용이 창업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역설했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신약 개발은 물론 다양한 플랫폼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는 “기술이 빨리 바뀔 때는 학생들이 강의실의 수업이 아닌 실제 창업을 통해 배우도록 해야 한다”면서 “빅데이터를 활용해 O2O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업 기회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빅데이터를 활용하려면 이를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필요하다”면서 “10년 내에 10만명의 데이터 분석가를 양성하는 정책을 정부에 제안한다”고 밝혔다.
한국바이오협회는 2011년부터 ‘바이오 아카데미’를 통해 지금까지 7,000여명의 바이오 분야 인력을 양성했다. 이 정도로는 부족하다는 게 서 회장의 판단이다. 그는 “청년 실업 문제 해소를 위해서도 1년에 1만명은 키워야 한다”며 “이들이 바이오 관련 기업에 취업도 하겠지만 창업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해 청년 일자리 창출은 물론 바이오 산업의 생태계를 풍성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회장은 국내 바이오 시장을 개척한 1세대 벤처기업인으로 2000년 바이오기업으로 국내 최초로 코스닥에 상장한 유전자 분석 기업 마크로젠의 회장을 맡고 있다.
서 회장은 고령화 시대를 맞아 복지와 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는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 육성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면서 이를 가속화하기 위한 보건의료 분야의 규제개혁 속도는 빠르면 빠를수록, 투자는 크면 클수록 좋다고 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 임기 내에 바이오 분야의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지 않으면 우리에게 다시는 기회가 없을 것”이라며 “보건의료 빅데이터 규제를 빨리 풀어주고 과감한 투자를 통해 바이오 창업 활성화와 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