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코스메슈티컬 새 강자 등장…제약 M&A 촉발할 듯

양사 매출 합산 1.3조 달해

상당한 경쟁력 발휘 예상

업계 '짝짓기' 활성화 주목

화장품 제조업자개발생산(ODM) 대표주자 한국콜마가 CJ헬스케어를 인수하면서 국내 제약 업계에도 상당한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당장 양사의 통합매출 규모가 1조3,000억원에 달해 제약 업계 최고인 유한양행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다. 양사의 성공적인 통합 여부에 따라 앞으로 제약 업계의 인수합병(M&A)이 활성화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콜마가 CJ헬스케어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됨에 따라 대형 제약사의 탄생을 예고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CJ헬스케어의 매출은 5,137억원, 한국콜마가 8,216억원이다. 두 회사의 통합으로 단번에 1조원을 훌쩍 넘어서게 된다. 현재 제약 업계에서 ‘1조 클럽’은 유한양행·녹십자뿐이다. 제약업계의 한 관계자는 “M&A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매출 1조원을 유지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면서 “한국콜마가 CJ헬스케어를 인수하는 데 상당한 돈을 쓴 만큼 당장 공격적으로 투자하기는 어렵지 않겠냐”고 내다봤다.


업계는 M&A 이후 양사의 통합 시너지가 어떻게 나올 수 있을 것인지에 특히 주목하고 있다. 한국콜마는 화장품 사업이 매출 대부분을 차지한 가운데 의약품위탁생산(CMO)과 복제약(제네릭) 등 제약 사업을 일부 진행했다. 한국콜마 입장에서 수액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량신약 등 파이프라인을 갖춘 CJ헬스케어를 인수함으로써 단번에 숙련된 신약 개발인력 및 영업인력을 확보해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여기에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국내 대표 숙취해소음료 ‘컨디션’ 등 음료 사업까지 더해 사업을 다각화하는 효과가 있다.

관련기사



제약 산업에 대한 윤동한 한국콜마 회장의 의지가 강한 만큼 CJ헬스케어의 신약 연구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최근 시장 규모가 빠르게 커지고 있는 코스메슈티컬(화장품+의약품) 시장에서도 한국콜마가 상당한 경쟁력을 발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CJ헬스케어 내부 불만을 잠재우는 것은 과제로 지적된다. 업계의 다른 한 관계자는 “직원들 사이에서는 CJ 그룹의 계열사였는데 한국콜마로 바뀌게 된 데 불만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한국콜마의 CJ헬스케어 인수에 따라 향후 국내 제약 업계에서 M&A가 활발해질지도 관심거리다. 국내 제약 업계는 업체별로 비슷한 사업 포트폴리오와 강한 오너십 중심의 경영방식 탓에 특히 M&A에 소극적인 분야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실제로 지금까지 드림파마가 알보젠코리아에 약 2,000억원에 인수됐고 태평양제약이 한독에 약 600억원에 인수되는 등 중소형 제약사 중심의 짝짓기에 그쳤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