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권오준 철강협 회장 “美 철강 보호무역, OECD에 시정 요청할 것”

철강협회 2018년 정기총회 개최, 20개 회원사 참석

무역확장법 232조, OECD에 불공정 조치 시정 요구

수출 3,000만톤, 수입 2,000만톤 유지 전략 목표

21일 한국철강협회 ‘제51회 정기총회’가 열린 서울 강남구 포스코 센터 전경. 포스코 등 20개 회원사는 이날 총회에서 미국의 보호무역 조치와 관련해 국제기구 등에 시정조치를 요구하기로 결의했다./서울경제DB21일 한국철강협회 ‘제51회 정기총회’가 열린 서울 강남구 포스코 센터 전경. 포스코 등 20개 회원사는 이날 총회에서 미국의 보호무역 조치와 관련해 국제기구 등에 시정조치를 요구하기로 결의했다./서울경제DB


미국이 무역확장법 232조를 발동해 한국산 모든 철강 제품에 대해 고율의 관세 폭탄을 부과하려 하자 국내 철강업체들이 들고 일어났다. 미국이 관세를 부과할 경우 국제기구를 통해 시정을 요구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21일 한국철강협회는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제 51회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협회는 이날 총회에서 올해 사업추진 목표인 ‘대내외 리스크 적극 대응을 통한 철강산업 혁신성장 지원’을 논의했다. 핵심과제는 △통상환경 및 불공정 수입 대응 △정부 정책 변화 대응 △중장기 경쟁력 강화 지원 △위원회별 특화서비스 제공 △사무국 혁신 등이다.

특히 협회는 “무역확장법 232조 조치가 확정된 전후로 민관 합동대책 수립 및 시행을 통해 불공정한 무역구제 조치에 적극 대응할 예정”이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철강위원회 등 정부간 다자 통상채널을 통한 규제국의 불공정 조치에 대해 시정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총회에 참석한 권오준 회장(포스코 회장 겸임)을 비롯해 우유철 부회장, 장세욱 부회장, 이순형 세아제강(003030) 회장, 김창수 동부제철 사장, 문종인 한국철강 부사장, 손봉락 TCC동양 회장, 홍영철 고려제강 회장, 박훈 휴스틸 대표 등 20명도 미국의 보호무역 조치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하겠다는 입장에 의견을 모았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16일(현지시간) 무역확대법 232조와 관련한 철강 무역규제 권고안을 발표했다. △모든 국가의 철강 수입에 대해 최소한 24%의 관세를 부과하거나 △한국, 중국, 브라질 등 12개국에 대해 최소 53%의 관세를 부과하고 나머지 국가들은 2017년의 100%로 쿼터를 할당하거나 △모든 국가의 철강 수입을 2017년의 63%로 쿼터를 할당하는 방안 등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 권고안을 최종 결정하는 시한은 4월 11일이다.


업계는 미 상무부가 중국과 한국을 묶어 제재하는 안(53% 관세)을 선택할 경우 일부 철강제품들에 대한 관세율이 100% 이상 높아져 국내 철강업이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세아제강과 휴스틸, 넥스틸 등 미국에 강관을 수출하는 업체가 집중적인 매출 감소가 우려된다. 협회 관계자는 “적극적 통상 대응과 전략시장 협력을 통해 국내 업계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힘쓰겠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또 협회는 수입신고제도를 개선, KS인증심사 기준 합리화하는 방식으로 불공정·부적합 수입대응 강화하기로 했다. 이는 한국이 저가의 중국산 철강을 사들여 미국으로 수출한다는 오명을 벗기 위한 차원의 조치로도 해석된다. 이를 통해 올해 ‘수출 3,000만톤, 수입 2,000만톤 이내 유지’를 전략목표로 잡고 국내 업계 피해 최소화를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이 밖에 △산업용 전기요금 및 미세먼지 △온실가스 등 환경규제 △화물운송 표준운임제 등으로 인한 비용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해 산업계의 의견을 공동건의하고 대응방안도 연구해 정부의 정책 변화도 유도하기로 했다. 하이브리드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과 고부가 금속소재 전문인력 양성 사업 등 혁신과 인력 양성에도 힘을 쏟을 예정이다.

한국철강협회는 철강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해 국가 경제발전과 선진화에 기여하기 위해 1975년 7월 설립됐다. 회원사는 철강을 제조하는 정회원 37개사와 특별회원 5개업체 및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