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금호타이어 매각... 노조, 방사청 손에 달렸다

방산무문 매각승인 얻어야 하고

26일까지 MOU 불발땐 부도위기

산업은행이 금호타이어 외부 자본유치를 추진하고 있지만 산업통상자원부와 방위사업청의 최대주주 변경 승인 결정 여부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산은은 이달 말까지 노사가 자구안에 합의를 해오지 않으면 법정관리도 불사한다는 방침이어서 매각까지는 여전히 난관이 남아 있다.

2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산은은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금호타이어의 경영권을 넘기기 위해 중국의 더블스타 등과 재협상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금호타이어는 F-16 전투기나 T-50 고등훈련기 등에 타이어를 납품하는 주요 방위산업체이기 때문에 외국 기업이 경영권을 확보할 경우 외국인투자촉진법상 산업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산은은 방위사업청에 비공식적으로 금호타이어의 경영권이 해외업체로 넘어가도 되는지 여부에 대해 해석을 요청했고 방사청도 내부적으로 검토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호타이어의 방산 부문 매출비중은 전체 매출의 0.2%에 불과하지만 중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 등으로 중국 업체에 매각되는 데 대한 국민적 반감이 강해 방사청이 쉽게 결론을 내리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더구나 방사청이 금호타이어 방산 부문 해외매각에 대한 승인심사에 착수할 경우 국내 방위산업체의 외국인 대주주 변경에 대한 첫 사례가 되기 때문에 부담도 만만찮을 것으로 전망된다.


일부에서는 더블스타가 금호타이어 인수 후 3년간 고용을 보장하겠다는 안을 제시했지만 한국GM의 군산공장 폐쇄 결정 등에 따른 외국 기업의 먹튀 논란이 불거질 수 있는 것도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산은이 오는 26일 주주협의회를 소집해 금호타이어를 더블스타에 매각하는 방안에 대한 의견 조율에 나설 계획이었지만 돌연 이를 취소한 것도 이 같은 변수가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채권단은 지난달 금호타이어의 채권 상환을 조건부로 1년 유예하면서 26일까지 금호타이어와 ‘경영 정상화 계획 이행을 위한 약정서(MOU)’를 체결하지 못할 경우 유예를 철회하기로 했다. 채권단은 MOU 체결의 전제조건으로 노사가 합의한 자구안을 가져올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금호타이어 노사가 아직 합의하지 못해 MOU를 체결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26일까지 MOU를 체결하지 못하면 이날 만기가 돌아오는 금호타이어 채권에 대해 이론상 부도처리를 하게 된다. 노사가 합의하더라도 노조의 찬반투표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23일까지는 노사 합의가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다.

금호타이어 사측은 경영 정상화에 필요한 목표금액 1,483억원 가운데 노조 측에 약 958억원 규모의 비용 감축안을 제시한 상태로 노조의 수용 여부도 금호타이어 매각에 큰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채권단 고위관계자는 “금호타이어의 노사 합의는 매각을 통한 정상화나 채권 만기 연장 어느 쪽에서 봐도 필요조건”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