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한국GM 임단협 결렬…'인건비 절감안' 논의조차 못해

사측 교섭안 논의 없이 경영 부실 의혹 문답만 이어져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철회 노조 결의대회/연합뉴스한국GM 군산공장 폐쇄 철회 노조 결의대회/연합뉴스


경영난으로 존폐 위기에 처한 한국지엠(GM) 노사가 28일 협상 테이블에 앉았지만 성과를 얻지는 못했다. 사측이 마련한 인건비 절감 교섭안은 다뤄지지도 않았고 노조는 한국GM 경영 부실의 숨은 원인으로 연구·개발(R&D)비 의혹 등을 주로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GM 노사는 이날 오전 1시간여 동안 부평공장에서 제3차 2018년도 임단협 교섭을 진행했다. 한국GM은 3월 초 본사 제너럴모터스(GM)의 한국 공장 신차 배정 결정을 앞두고 임단협을 통한 인건비 등 비용 절감 성과를 기대했지만 이날 협상에서 사측의 교섭안은 거의 논의조차 이뤄지지 않았다.


지난 22일 사측은 임금동결, 성과급 지급 불가 등을 포함한 임단협 교섭안을 마련해 우선 팀장급 이상 직원들에게 공유하고 노조 측에도 교섭안을 전달했다. 지난 13일 한국 GM 군산공장 폐쇄 발표와 함께 희망퇴직 신청을 독려하는 차원에서 지금까지 2~3차례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기회는 마지막”이라는 취지의 이메일도 전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이날 노조는 임단협이나 희망퇴직에 대한 언급 없이 정치권 등 일각에서 제기된 한국GM의 과도한 연구개발비, 부당 이전가격 등 의혹에 대한 답변을 요구했고 사측은 해명에 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전가격은 다국적기업에서 여러 나라에 흩어진 관계회사들이 서로 제품·서비스를 주고받을 때 적용하는 가격을 말한다.

노조는 사측 교섭안에 대해 노조측의 교섭안이 마련되기 전까지 일방적으로 협상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 사측은 이날 교섭에서 노조원이 아닌 간부급 임직원들에 대한 ‘구조조정’ 방안도 노조에 전했다. 해당 방안에는 28일 전무급 이상 임원을 35%, 상무와 팀장급 임원을 20% 감축하고 현재 36명인 외국인 임원 수도 절반인 18명까지 줄이는 내용이 포함됐다. 임원급 이상 팀장급들의 올해 임금도 동결됐다. 임금과 복리후생을 삭감한 사측 교섭안을 접한 노조원들 사이에서 일고 있는 “간부는 빠지고 왜 우리만 희생해야 하느냐”는 불만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노조는 교섭을 마친 뒤 부평공장에서 서울로 이동해 오후 2시부터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공장폐쇄 규탄 및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를 열고 청와대 사랑채 앞까지 행진했다. /김연주인턴기자 yeonju1853@sedaily.com

김연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