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우상호 “항공·통신 마일리지, 대중교통비로 사용“ 정책 제안

우상호 “항공·통신 마일리지, 대중교통비로 사용“ 정책 제안




서울시장 출마 뜻을 밝힌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은 4일 항공·통신 마일리지를 대중교통비로 사용하는 ‘마일리지 허브’ 정책을 제안했다.


우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두 번째 ‘서울 가즈아’ 정책 발표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공정경제-마일리지 주권 확보’ 정책을 발표했다.

우 의원이 제시한 통계에 따르면 국내 마일리지 시장은 항공(2조1천억 원), 카드(1조6천억 원), 통신(1조3천억 원) 등을 합해 지난해 기준 약 9조 원 규모로 추산된다.

그런데 항공 마일리지는 유효기간이 10년으로, 2008년 도입 이후 10년이 되는 내년부터 소멸이 시작되면 연간 2천억 원씩 소멸이 진행될 것이라고 우 의원은 예상했다.

유효기간이 1년인 통신사 마일리지의 경우 매년 소멸이 진행되고 있으며, 전체 마일리지의 42.6%에 해당하는 5천500억 원이 소멸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우 의원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가 1대 주주인 스마트카드사 등과 협력해 마일리지 전환 관리 시스템인 ‘마일리지 허브’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렇게 하면 통신 마일리지를 적립 단계에서부터 대중교통비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관련기사



이 정책이 시행되면 항공 마일리지 2조1천억 원, 통신 마일리지 1조3천억 원 등 총 3조4천억 원 규모의 잠재적 대중교통비 확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우 의원은 설명했다.

우 의원은 또 정부와 협의하고 국회의 협조를 얻어 항공·통신사의 의무적 참여를 골자로 한 ‘마일리지에 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흩어져 있는 마일리지 정보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도록 ‘내 마일리지 한눈에’ 서비스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마일리지를 시민이 원하는 곳에 쓸 수 있도록 하는 ‘마일리지 거래소’를 장려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우 의원은 “기업들은 소비자에게 마일리지를 얼마 보유하고 있는지 제대로 알리지 않고, 사용처도 제한하고 있다”면서 “시민의 마일리지 주권에 대한 심대한 침해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서울시민이 온전하게 마일리지 주권을 행사하도록 뒷받침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우 의원은 지난달 26일 첫 번째 ‘서울 가즈아’ 정책 발표회에서 철도 상부와 유휴 부지를 활용한 공공주택 대량 보급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