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디지털 고민 깊어지는 시중은행

우리銀, 차세대시스템 도입 연기로 상품, 마케팅 전략 차질

신한銀 6개 앱 통합 '쏠' 내놨지만 "과도하게 많은 메뉴" 지적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이 야심 차게 디지털 전환(트랜스포메이션)에 나섰지만 다소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모습이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오는 5월 8일로 차세대 시스템 도입이 예정보다 3개월가량 지연되면서 마케팅 등에 차질을 빚게 됐다. 차세대 시스템에 맞춰 개발한 위비3.0, 폰투폰 서비스(카드단말기 없는 결제 방식)도 줄줄이 연기돼 당장 쓸 수 없게 됐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도입이 늦어진 데 따른 비용뿐 아니라 고객 맞춤형 상품, 마케팅 전략 자체를 새로 짜야 해 타격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차세대 시스템은 지난 2015년부터 우리은행이 개발에 착수한 새로운 전산 시스템으로 1,000여명의 인력과 3,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 대규모 프로젝트다.


일각에서는 예상보다 오류가 커 5월 도입도 어려울 거라는 관측이 있지만 우리은행의 한 관계자는 “한 치의 오류가 없게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더 이상 변동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신한은행은 지난달 22일 위성호 행장의 역작으로 꼽히는 통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쏠(SOL)’을 출시했다. 쏠은 ‘신한 S뱅크’ ‘써니뱅크’ ‘스마트 실명확인’ ‘온라인 등기’ ‘S통장지갑’ ‘써니 계산기’ ‘엠폴리오(기능 일부)’ 등 6개 금융거래 앱을 하나로 합쳤다. 키보드뱅킹, 모션뱅킹, 인공지능(AI) 챗봇(채팅+로봇) 상담 등 위 행장이 강조하는 디지털 영업을 위한 혁신적인 기능이 대거 부각 됐으나, 너무 많은 메뉴와 상품들이 담겨 있어 소위 앱이 ‘무겁다’는 평가가 나온다. 출시 2주 만에 전환율 50%로 300만 고객을 확보했음에도 신한은행은 쏠 2.0 버전 개발에 착수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혁신을 위해서는 카카오뱅크 앱처럼 간단해야 하는데 고객 편의를 맞추려고 뺄 상품을 빼지 못하다 보니 새로운 앱이 하나 더 추가된 것 같다”고 평했다. 신한은행의 앱이 기존 18개에서 13개로 줄어든 정도라는 얘기다.

금융권의 다른 한 관계자는 “은행들이 초기 계획보다 요구사항이 늘어난 게 근본적인 원인으로 디지털 뱅킹과 관련 상품 개발에 있어서는 기존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