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초등 교과서에 ‘일본군 위안부’ 표현 4년 만에 다시 명시

초등 교과서에 ‘일본군 위안부’ 표현 4년 만에 다시 명시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서 ‘일본군 위안부’라는 표현이 4년 만에 다시 명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에 따르면 올해 신학기부터 사용되는 초등 6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에는 ‘일본군 위안부’라는 제목의 사진과 함께 ‘식민지 한국의 여성뿐 아니라 일제가 점령한 지역의 여성들까지 강제로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가 모진 고통을 당했다’는 설명이 실렸다.

새 교과서에 실린 사진은 1944년 9월 미군이 중국 윈난성 ‘라모’지역에서 찍은 위안부 모습이다.

초등 사회 교과서에 위안부라는 명칭이 등장하는 것은 4년 만이다. 이전 정부 때 만들어진 종전 교과서는 ‘강제로 전쟁터에 끌려간 여성들은 일본군에게 많은 고통을 당했다’고 서술할 뿐 위안부라는 명칭을 직접 사용하지는 않았다.

5·16 군사정변에 대한 설명도 바뀌었다.

종전 교과서는 ‘정부가 4·19 혁명 후 각계각층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자 박정희를 중심으로 일부 군인이 국민 생활 안정과 공산주의 반대를 주장하며 군대를 동원해 정권을 잡았다’고 서술했다.

반면 새 교과서는 ‘정부가 경제를 성장시키고자 세운 계획을 이유로 군대를 축소하려 하자 불만을 품은 박정희를 중심으로 일부 군인이 정부 무능과 사회혼란을 구실삼아 군대를 동원해 정권을 차지했다’고 군사정변 이유를 달리 설명했다.


‘유신체제’나 ‘유신헌법에 따른 통치’ 대신 ‘유신독재’나 ‘독재정치’라는 표현을 쓴 것도 새 교과서에서 달라진 점이다.

관련기사



새 교과서는 ‘1948년 8월 15일’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 이뤄진 날로 정리했다.

그러나 일부 보수단체를 중심으로 이날을 대한민국이 수립된 ‘건국절’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는 헌법에도 명시된 ‘대한민국임시정부 법통 계승’을 부정하는 것이라는 비판이 뒤따른다.

새 교과서에는 조선통신사가 일본에 조선문화를 전했을 뿐 아니라 일본에서 서적 등을 수입해 들어왔다는 점도 명시됐다.

또 신사임당이 ‘조선제일의 여류화가’로 소개돼 ‘현모양처의 모델’처럼만 소개하던 가부장적 시각에서 다소 벗어난 것으로 평가됐다.

최근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기준 시안에서 빠져 논란이 된 ‘자유민주주의’라는 표현은 이번 초등학교 새 교과서에는 소단원 제목으로 남았다.

전교조는 “교육과정에 쓰인 용어가 자유민주주의라 이 표현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교육부 설명”이라며 “개념이 모호한 용어로 정치적 의도에 따라 논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앞으로 명쾌하게 정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제공/연합뉴스]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