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우리동네 발전전략 담은 '2030 서울생활권계획', 4년 만에 완성…8일부터 가동

서울 전역을 5개 권역, 116개 지역 생활권으로 나눠 맞춤형 개발 전략 제시

균형 발전 위해 신규 상업지 물량 70%이상 동북권, 서남권에 배분





서울시가 ‘우리동네 미래발전 지도’에 해당하는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4년 만에 완성하고 8일부터 본격 가동한다. 동(洞) 단위로 개발전략을 제시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비강남 지역의 업무·상업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서울 내 지역 불균형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2014년에 수립된 ‘2030 서울플랜’을 잇는 구체적 도시계획인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7일 발표했다.

‘2030 서울생활권계획은 서울 전역을 동남권, 동북권, 서남권, 서북권, 도심권 등 5개 ‘권역’ 생활권으로 나누고 각 권역을 다시 116개 ‘지역’ 생활권으로 세분화해 맞춤형 개발 목표와 실천방향을 제시한다.


각 생활권은 △도시공간 △산업·일자리 △주거정비 △교통 △환경·안전 △역사·문화·관광 △복지·교육 등 7개 핵심 이슈에 따라 개발 전략이 추진된다..

관련기사



‘도시공간’의 경우 여의도 도심을 글로벌 금융·업무 중심지로 활성화시키는 것이고 ‘역사·문화·관광’은 동남권 풍납토성과 암사동유적, 아차산성를 잇는 삼각벨트를 활용해 역사문화 탐방로가 조성되는 식이다. 서울 전역을 조사해 보건소, 공원, 도서관 등 11개 종류의 생활서비스시설을 확충하는 방안도 포함된다.

또 균형 발전을 위해 ‘2030 서울플랜’에서 정한 중심지(3도심-7광역-12지역-53지구) 내에 2030년까지 192만㎡의 상업지역을 새로 지정한다. 신규 상업지 물량의 70% 이상이 동북, 서남권에 배분된다.

권기욱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2030 서울생활권계획은 4년간 많은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로 만든 우리 동네의 ‘미래지도’”라며 “서울 모든 지역의 발전구상을 빠짐없이 촘촘히 담은 만큼 지역균형성장을 견인할 버팀목이 될 것”이라 말했다.

생활권계획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도시계획포털’ 홈페이지(http://urban.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고 하반기에는 ‘생활건계획 홈페이지’ 오픈이 예정돼 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