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우주인 배출 사업 성공하지 않았다"

"우주인 사업 후속 계획 없어" 지적

한국인 최초의 우주인인 이소연 박사가 한국인 최초 우주비행 10년을 기념해 과학잡지 ‘에피’ 와 인터뷰를 가졌다./연합뉴스한국인 최초의 우주인인 이소연 박사가 한국인 최초 우주비행 10년을 기념해 과학잡지 ‘에피’ 와 인터뷰를 가졌다./연합뉴스


한국인 최초로 우주비행을 했던 이소연(40) 박사가 자신이 “(한국의) 우주인 배출 사업이 만들어낸 상품”이라며 우주인 배출 사업에 대해 후속 계획이 없었다는 점에서 우주과학발전의 관점에서는 성공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 박사는 한국인 최초 우주비행 10년을 기념해 과학잡지 ‘에피’ 3월호에 실린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박사는 한국 우주인 배출 사업을 통해 2008년 4월8일부터 19일까지 10일간 러시아 소유즈 TMA-12호를 타고 우주에 머물며 여러 실험을 진행했다. 이 박사는 “그때의 저는 우주에 있을 때도 후속사업이 없는지 몰랐고 이후의 다른 계획들이 잡혀 있는 줄 알았다”면서 “귀환해서 우주인 사업이 3년짜리 단기 사업이고 후속 계획이 없었다는 것을 알고 무척 허탈했다”고 말했다.

이 박사는 귀환 후 우주정거장에서 갖고 온 실험결과를 분석하는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우주과학팀이 뭐라도 할 수 있게끔 예산을 따러 돌아다녀야 했다고 말했다. “당시의 허망함은 이루 말할 수가 없었고 그런 상황에서 욱한 것 반, 먼 미래를 계획한 것 반의 이유로 한국을 떠나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우주인 배출 사업이 한국의 우주과학을 발전시키는 게 목표였다면 후속 사업도 없고 후속 실험도 안 했기 때문에 성공했다고 평가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 박사는 우주인 배출 사업에 대해 “정책 설계가 부실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그보다는 정책 설계자와 정책 수행자가 바뀌었고 그래서 목표와 방향이 달라졌던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잡지에는 이소연 박사가 우주에서 썼던 일기들이 공개됐다. 당시 우주인 사업을 추진했던 정부 부서의 이름이 바뀌면서 우주정거장에서 새 부서 이름이 적힌 패치를 바느질해야 했고 실험장치에 있던 스티커도 새로 붙여야 했던 일화도 처음 소개된다. 우주에서 멀미와 두통, 소화불량을 겪게 되는 이유, 우주에서 여성 우주인이 생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등 우주체험 이야기도 실려있다.

이 박사는 2012년 항공우주연구원을 휴직하고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이 박사는 현재 미국 시애틀의 워싱턴대 공대 자문위원 자격으로 학생들의 연구활동을 돕고 있다고 근황을 전했다.

/한상헌인턴기자 aries@sedaily.com

한상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