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우정사업본부 "우편물도 '고객 맞춤' 시대 연다"

우정사업본부 '빅데이터센터' 오픈

우편물류·금융 관련 정보 등 수집

니즈 분석해 서비스·상품개발 활용

강성주(왼쪽 네번째) 우정사업본부장과 관계자들이 7일 전남 나주 우정사업정보센터에서 열린 ‘우정사업 빅데이터센터’ 현판식에 참석해 현판 제막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우정사업본부강성주(왼쪽 네번째) 우정사업본부장과 관계자들이 7일 전남 나주 우정사업정보센터에서 열린 ‘우정사업 빅데이터센터’ 현판식에 참석해 현판 제막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우정사업본부




우정사업본부가 우편물과 우체국금융과 관련된 빅데이터를 활용해 맞춤형 배송 서비스·상품 개발에 나선다.

우정사업본부는 7일 전남 나주 혁신도시 내 우정사업정보센터에 ‘우정사업 빅데이터센터’를 개소하고 우편과 우체국금융 관련 데이터 수집·분석에 본격 착수했다고 밝혔다.


우정사업 빅데이터센터는 연간 38억 건의 우편물류 정보와 하루 평균 2,400만건의 우체국 금융거래 정보 등 시스템에 보관되는 데이터를 수집, 분석한다. 또 전국 25개 우편집중국 우편물 구분기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우체국쇼핑을 이용하는 고객패턴 등 사용 후 버려지는 데이터도 수집해 다양하게 분석한다. 빅데이터센터는 우선 업무별로 흩어져 보관되고 있는 데이터 현황을 조사하고, 하반기에 시스템 구축사업을 착수해 내년 완료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우정사업본부는 빅데이터센터를 운영해 우편·우체국금융 관련 데이터를 정부·공공기관의 공공데이터, 인터넷·SNS 등 고객 니즈 정보와 결합돼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우편물 배달물량 예측, 우편물류 프로세스 개선, 고객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고, 우편과 우체국금융이 융합된 새로운 서비스도 발굴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우체국택배 등 우편물류 정보와 각종 시장 정보를 결합하면 우편물류와 시장상황을 연관해 분석할 수 있는 ‘우체국지수’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는 공공데이터로 개방된다. 우정사업본부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기업, 민간연구소 등에 제공해 일자리 창출 유도 등 경제활성화에도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성주 우정사업본부장은 “오랜 기간 축적된 많은 양의 데이터를 분석해 새로운 가치를 지닌 데이터를 창출할 것”이라면서 “빅데이터가 생산성 향상과 노동조건 개선 등 사람중심의 4차산업혁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