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와 껄끄러운 中, 日에 손 내밀다

美 통상압박 대비한 연대대응 포석

習 "中 발전 도움될 환경 만들라"

왕이 외교부장도 "안정된 관계 희망"

미중 통상갈등과 북미관계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그동안 껄끄러웠던 일본과의 관계에 변화를 꾀하며 전략적 협력 모색에 나섰다.

일본 NHK는 9일 중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이 최근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며 “이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시 주석은 지난해 12월 관계기관에 보낸 통지에서 “중일 평화우호조약 체결 40주년을 계기로 일본이 적극적으로 나오도록 만들어 중국의 발전에 이익이 될 환경을 조성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도 지난 8일 전국인민대표대회 기자회견에서 대일관계 전망에 대한 질문에 “일본이 주제 넘는 일을 하지 않고 중국의 발전을 객관적으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면 중국은 일본에 다가갈 것”이라며 일본과의 적극적인 관계 개선 의지를 내비쳤다. 왕 부장은 센카쿠열도 이슈를 겨냥해 일본에 대한 경고를 전제로 하면서도 “양국 관계가 건전하고 안정된 발전궤도로 돌아가기를 희망한다”며 관계 개선이 계속되면 고위급의 왕래도 저절로 이뤄질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관련기사



중일관계는 2012년 9월 일본 정부가 영유권 분쟁지역인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국유화하면서 지속적으로 악화됐지만 올해 중일 평화우호조약 체결 40주년을 맞아 변화 조짐이 역력하다. 마이니치신문은 왕 부장이 2013년 외교부장 취임 후 전인대 회견에서 일본을 겨냥해 “중일관계의 기초를 파괴했다(2014년)” “마음의 병(2017년)” 등 과격한 표현을 동원해 비난해온 반면 올해는 안정적인 양국 관계를 원한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했다고 평가했다.

이 같은 중국 측의 태도 변화는 통상 문제 등으로 미중관계가 악화할 가능성에 대비한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미국이 통상압박 고삐를 점차 강화할 경우 직접적 피해국 중 하나인 일본과 공조를 통한 연대 대응에 나서기 위해 사전 조치를 취한 것이라는 의미다.

일본도 지난해 9월 아베 신조 총리가 15년 만에 처음으로 도쿄에서 열린 중국 국경절 행사에 참석해 양국 정상의 상호 방문 구상을 밝힌 데 이어 올초 국정연설에서는 “양국이 끊을 수 없는 관계이며 모든 수준에서 교류를 강화하겠다”며 중국에 적극적인 구애 신호를 보냈다. 신문은 오는 5월 도쿄에서 리커창 총리가 참석하는 중일정상회담 개최를 조율 중이며 일본 정부는 이를 발판 삼아 아베 신조 총리의 방중 또는 시 주석의 방일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