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서울시, 재래시장·역세권 대상 거점확산형 도시재생 도입

서울형 도시재생의 미래 토론회

역세권 정비, 재래시장 재생 등

도시재생 유형 세분화해 추진

서울시가 필지·소규모 구역 단위를 대상으로 역사·문화자산 명소화, 재래시장 재생, 국공유지 위탁 개발, 복합적 역세권 정비를 진행하는 거점확산형 도시재생사업을 새롭게 도입한다. 현재 정부가 지원하는 도시재생사업 유형은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선정된 지역 특성에 따라 △경제기반형 △중심시가지형 △근린재생일반형으로 구분돼 있다. 서울시는 이 같은 사업 방식이 활성화지역 내부와 외부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도시 전체의 활력 창출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도시재생사업을 활성화지역 외부로 확대하고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 유휴 국공유지 개발 등 다양한 도시계획사업과 연계한다는 방침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9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형 도시재생의 미래 대토론회’에서 서울 도시재생의 발전 방향으로 이러한 내용을 소개했다. 그 동안 도시재생사업에 따라 진행한 역사·문화자산 명소화의 사례로는 돈의문박물관 마을 조성, 남산 예장자락 재생사업을 소개했다. 국공유지 위탁 개발 사례로는 강서구 등촌동의 복합문화 공간 어울림프라자 조성, 복합적 역세권 정비의 사례로는 사당역 복합환승센터 조성, 재래시장 재생 사례로는 영등포구 양남시장의 ‘서울형 마켓홀’ 시범사업을 각각 제시했다. 진 본부장은 “올해는 정부와 함께, 성숙한 시민의식을 기반으로 지역이 특화된 경쟁력을 갖고,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서울형 도시재생 4.0’을 구현해 나가는 시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한편 서울시는 재래시장 재생사업 추진을 위해 올 상반기 중 자치구 공모를 거쳐 쇠퇴한 재래시장 2곳을 시범사업지로 선정하기로 했다. 이후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수립해 2020년까지 총 6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그 동안 여러 재래시장들을 대상으로 현대화, 정비사업 등을 진행한 결과 지역 활성화 효과가 크지 않았다는 판단에 따라 이번에는 시장과 반경 200여m 범위의 주거지역까지 대상이 된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예전에는 지역의 중심지였던 시장의 위상이 달라졌기 때문에 주거지역과 시장을 연계해 지역의 중심 기능을 회복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