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북미 5월 정상회담-국제사회 반응]日 '재팬 패싱' 우려… 中·러시아 "믿기 어려운 진전"

아베 내달 대북문제 논의 방미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FP연합뉴스아베 신조 일본 총리.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정상회담에 합의했다는 소식에 국제사회는 일단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면서도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대북 강경태도를 고수해온 일본은 북미 대화가 급물살을 타면서 한반도 문제에서 ‘재팬 패싱(일본 배제)’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지자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9일 총리 관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한 뒤 오는 4월 트럼프 대통령과 대북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하겠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국제사회가 고도의 압력을 계속 가한 결과 김 위원장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하면서도 “핵·미사일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핵 폐기를 위해 북한이 구체적 행동을 취할 때까지 최대한 압력을 가해 나간다는 양국의 입장에는 흔들림이 없다”는 기존 입장을 견지했다. 그는 이어 “미일 양국은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100% 함께한다는 점에 대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동의했다.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한층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다음달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긴밀한 대북 공조 방침을 재확인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북미 직접 대화가 예상외 속도로 급진전되는 상황에서 미일 결속을 다지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북한의 혈맹인 중국에서는 주요 매체들이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의 백악관 브리핑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면서 이번 결정에 대해 ‘중대 변화’라고 표현하는 등 기대감을 드러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인터넷판 인민망은 “북핵 문제의 외교적 해결의 길이 멀고 험하지만 대화는 사람들의 전쟁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북미 정상회담은) 올바른 방향의 행보”라며 “합의가 이행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대북 압박정책이 정상회담을 이끌어냈다는 미국의 주장에 대해 “관련국들은 자신들의 해석을 올바른 것으로 주장하려 할 것”이라며 판단을 유보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