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트럼프·김정은 5월 회동...한반도 역사적 기로

<訪美 특사단 백악관 기자회견>

김정은 "핵·미사일 실험 중단...조속 만남 희망"

트럼프 "좋다, 만나겠다" 회담 제의 즉시 수용

文대통령 "비핵화 본궤도...평화 이정표 될것"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오른쪽)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오는 5월 정상회담을 한다. 6·25전쟁 정전협정 당사국인 북한과 미국이 정상회담을 갖는 것은 역사상 처음이다. 김 위원장은 “만나면 큰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고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5월 안에 만나자. 하지만 비핵화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제재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오른쪽)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오는 5월 정상회담을 한다. 6·25전쟁 정전협정 당사국인 북한과 미국이 정상회담을 갖는 것은 역사상 처음이다. 김 위원장은 “만나면 큰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고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5월 안에 만나자. 하지만 비핵화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제재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남북이 오는 4월 말 정상회담을 갖는 데 이어 사상 처음으로 북미 정상회담이 5월 중에 열린다. 한반도의 운명이 역사적 기로에 서게 됐다.

북한이 진정성 있는 비핵화 방안을 내놓고 한미가 이에 동의한다면 대화 모드로 급변하면서 협력과 교류의 물꼬가 트이게 된다.


하지만 북한이 핵 완성을 위한 시간벌기 차원에서 남한과 미국에 정상회담을 제안했다면 대북제재는 더욱 거세지면서 대결국면이 고착화될 수 있다. 그야말로 ‘분수령’이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조속한 만남을 희망했고, 이에 트럼프 대통령도 5월 안에 만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발표했다. 6·25전쟁 정전협정 당사국인 북한과 미국이 정상회담을 갖는 것은 역사상 처음이다.

대북특사로 김 위원장을 만나고 돌아온 정 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은 이날 오후4시15분부터 45분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면담한 자리에서 김 위원장의 구두 메시지를 전달했다.


정 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 위원장이 가능한 조기에 만나고 싶다고 했으며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얘기를 나누면 큰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이어 “김 위원장이 비핵화 의지를 갖고 있고 향후 어떠한 핵 또는 미사일 실험도 자제할 것이라고 약속했으며, 한미 양국의 정례적인 연합군사훈련도 지속해야 한다는 점을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즉각 “좋다. 만나자”고 수락 의사를 표시하고는 정 실장에게 “한국 대표의 이름으로 백악관에서 직접 발표해달라”고 요청했다.

북미 정상 간 대화를 중재해온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후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만나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는 본격적인 궤도에 들어설 것”이라며 “5월 회동은 훗날 한반도 평화를 일궈낸 역사적 이정표로 기록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어려운 결단을 내려준 두 분 지도자의 용기와 지혜에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며 “특히 김 위원장의 초청 제의를 흔쾌히 수락한 트럼프 대통령의 지도력은 남북한 주민, 더 나아가 평화를 바라는 전 세계인의 칭송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