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포스코·삼성SDI, 칠레서 양극재 생산사업자로 선정

2021년 칠레 북부 메히요네스市에 양극재 공장 가동

칠레 수출 최저가 리튬 공급받아 전기차용 고용량 양극재 생산

포스코와 삼성SDI(006400) 컨소시엄이 양극재의 기본 원료로 쓰이는 리튬 세계 최대 생산 국가인 칠레에서 양극재 생산 사업자로 선정됐다.

11일 산업계에 따르면 칠레 생산진흥청(CORFO)은 자국 내 리튬을 원료로 현지에서 양극재를 생산하는 리튬프로젝트 사업자로 포스코·삼성SDI 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지난 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CORFO은 작년 5월부터 리튬 후방산업 확대와 자국산업 육성을 위해 양극재 사업자 선정 입찰을 진행했으며, 칠레·미국·캐나다·중국·러시아·벨기에·한국 등 총 7개국 12개 기업들이 참여했다.


포스코·삼성SDI 컨소시엄은 앞으로 575억원을 투자해 칠레 북부에 위치한 메히요네스시에 양극재 생산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칠레의 수출 최저가 리튬을 원료로 2021년 하반기부터 연간 3,200톤 규모의 전기차용 고용량 양극재를 생산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칠레 북부에 위치한 메히요네스 시 위치도칠레 북부에 위치한 메히요네스 시 위치도


이에 앞서 포스코는 지난 1월 중국 화유코발트사와 양극재 및 전구체 생산 공장 합작 계약을 통해 중국시장에 본격 진출한 바 있다. 포스코의 한 관계자는 “중국에 이어 남미 시장까지 이차전지 소재 사업영역을 확대하게 되면서 글로벌 양극재 생산업체로 자리매김하게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편 최근 세계 각국에서 친환경 정책이 강화됨에 따라 전기차와 산업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정보기술(IT)용 대용량 배터리 등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리튬이온전지의 필수 소재인 양극재 시장도 급성장 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양극재 시장은 지난 2016년 21만톤에서 2020년에는 86만톤까지 4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