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통상기업들, "미국 보호주의 통상압력 완화가 최우선 과제"

전경련, 주요 교역·해외투자 기업 44곳 설문조사

"한미 FTA 개정 협상 시 상호이익균형 달성도 중요"

통상 관련 기업들이 정부에 바라는 최우선 과제는 미국 보호주의 압력 완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은 최근 주요 교역·해외투자 기업 44곳을 대상으로 ‘통상현안 긴급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미국 보호주의 통상압력 완화 외교’(30%)가 가장 시급하다고 답했다고 11일 밝혔다.


경제계의 이러한 요청은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글로벌 통상갈등 격화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미국은 지난 해 한국을 대상으로 8건의 수입규제를 새롭게 개시했으며, 한국 기업에 대한 수입규제가 가장 많은 나라(31건)다.

관련기사



이어 정부가 ‘기업의 해외 대형 프로젝트 수주 지원(25%)’, ‘신흥국 비관세장벽의 실질 해소(22%)’에 나서주기를 희망하는 기업들도 많았다.

자료=전경련자료=전경련


또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해서는 정부가 미국, 중국, 아세안 순으로 협상 역량을 집중해 주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이거나 예정된 FTA 중 우선순위를 묻는 질문에는 ‘한미FTA 개정 협상 시 상호이익균형 달성’과 ‘한중FTA 후속협상 통한 중국 서비스시장 확대’를 선택한 기업이 29%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한국의 제2위 수출지역인 ‘아세안과의 FTA 개정’(23%)을 꼽은 기업도 많았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해외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외교·통상 분야 협상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대외변수에 대해 신속 대응해야 한다”며 “전경련도 미국 행정부 등에 철강 수입 규제 시 한국을 제외할 것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낸 것처럼 앞으로도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주요 교역국의 정·재계를 지속적으로 설득해 나가는 노력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