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제주항공, 가고시마·홍콩·마카오 ‘무인 수속’ 적용…고객편의 더 높인다

무인 탑승수속, 수하물 자동위탁 등 대기시간 줄여 만족도 제고

무인수속 전년대비 이용객 2배 목표…국내선도 확대시행 계획

인천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 직원이 승객에게 셀프체크인 서비스를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제주항공인천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 직원이 승객에게 셀프체크인 서비스를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제주항공


제주항공이 일본과 홍콩, 마카오 등의 노선에 무인탑승수속을 적용하는 등 디지털을 이용한 승객 편의 서비스를 확대한다.

12일 제주항공은 키오스크를 활용한 15개 노선에서 운용하고 있던 ‘무인 탑승수속’ 가능을 최근 일본 가고시마와 홍콩, 마카오,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노선까지 확대했다고 밝혔다. 올해 무인탑승수속을 전년 대비 두 배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무인탑승수속은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해 탑승객이 직접 좌석 등을 지정하고 탑승권을 발급할 수 있는 서비스다. 키오스크 무인 탑승수속이 가능한 노선 이용승객들에게는 출발 3시간 전에 알림서비스를 통해 이용을 유도할 방침이다. 입국할 때 비자가 필요한 중국 노선에서 무인수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개선을 추진 중이다. 이와 함께 ‘무인 탑승수속’과 승객이 직접 짐을 부치는 ‘셀프 백 드롭(이용자가 직접 수하물을 부치는 방식)’, 모바일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직접 탑승수속을 하는 ‘웹 체크인’ 등 ‘스마트 체크인 서비스’를 개선해 이용자 편의를 더 높인다. 제주항공은 지난해 인천공항에서 52만5,000명, 국내선에서 10만7,000명에 불과했던 키오스크를 활용한 ‘무인 탑승수속’ 탑승객수를 올해 인천공항에서 100만명, 국내선에서 25만명으로 늘린다는 목표를 정했다.


인천공항에서 제주항공을 비롯한 일부 항공사만 서비스하고 있는 ‘셀프 백 드롭’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현장안내를 강화하기로 했다. 셀프백드롭 서비스는 2016년 4월 첫 시행이후 연간 4만7,000여명이 이용하는데 그쳤지만 2017년에는 연간 12만명이 이용하는 등 3배 가까운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셀프백드롭 서비스는 인천공항 1터미널 3층 제주항공 카운터(F구역)에 위치해 있으며 1터미널에서는 제주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탑승객만 이용할 수 있다.

관련기사



이밖에 국제선을 기준으로 하루 평균 약 300명이 이용하고 있는 온라인과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웹·앱 체크인 서비스도 고도화 작업을 통해 이용자를 늘리기로 했다. 신분할인제도도 개선한다. 국내선에서 장애인과 군인 등 신분할인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현장에 인력을 배치에 애로사항을 해결하는데 힘을 쏟을 예정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고객들이 더 쉽고 편하게 항공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스마트 수속 등의 다양한 편의를 적극 도입하기 위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며 “IT 투자를 통해 생체인식 셀프체크인, 전자태그(RFID) 기술을 접목한 위치 알림 서비스 등 항공서비스 경험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도전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