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하루 11시간 일하는 소상인...개인생활엔 90분도 못 쓴다

중기중앙회 '워라밸 리서치'

절반이 "사회안전망 확대 필요"

1315A16 소상인






소상인들이 잠자는 시간을 빼고 일에 투입하는 시간은 하루 평균 10.9시간인데 반해 사생활을 위해서는 1.4시간밖에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에서 ‘쉼’의 여유나 가족이나 지인과의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하는 것이다.

12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대한민국 소상인 워라밸 리서치’에 따르면, 9대 1의 비율로 일과 삶의 균형추가 무너진 자영업자들은 ‘워라밸’이 위협 받고 있으며, 최소한 하루 2시간의 사생활을 확보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고장난 워라밸 시계를 고치기 위해선 정부의 사회안전망이 확충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번 조사는 전국의 자동차·부품판매업, 도매·상품중개업, 소매업, 음식점업 등 4개 업종의 5인 미만 소상인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상인들이 느끼는 일과 삶의 균형도는 41.8점에 불과했다. 특히 40세 미만(48.4점)과 60대 이상(38.4점)의 차이는 10점에 달해 연령이 높을수록 일과 삶의 균형이 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워라밸 수준이 낮게 나타난 것은 사생활이 부재한 탓이다. 조사 대상 업종 모두 소상인의 하루 개인 생활은 2시간 미만이었다. 특히 50세 이상과 도·소매업, 음식점업에서 전체 평균을 밑돌았다. 특히 월 매출 규모가 높아도 개인 시간 확대로 연결되지 않았다.

소상인들은 자신들이 생각하는 워라밸을 구현하기 위해선 평균 8시간의 노동과 3시간의 개인 시간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2시간의 사생활을 추가로 원하고 있는 것인데 소상인들은 자신들이 사업주여서 근로시간 단축의 혜택도 받지 못해 상대적 박탈감이 큰 것으로 파악됐다.


1년 전과 비교해 일과 삶의 균형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변화가 없다’는 응답이 67.1%로 가장 높아 소상인의 워라밸 수준은 정체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더 나빠졌다’는 응답도 29.1%에 달했고, ‘좋아졌다’는 응답은 3.7%에 불과했다. 일과 삶의 균형이 나빠진 경우 겪은 문제로는 절반 이상이 ‘일의 질이 저하되고’ (55.9%) ‘만성피로·피곤함·우울감이 많아졌다’(54.9%)고 호소했다.

관련기사



또 일과 삶의 균형을 위협하는 요소로는 대외적 문제인 ‘내수불안 등 경기침체’ (72.9%)가 가장 높았고 ‘불안정한 수입으로 인한 경제적 여유부족’(60.4%)이 뒤를 이었다. 내부적 문제인 ‘오랜 노동시간’(37.1%)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들은 일과 삶의 균형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사회안전망 확대’(48.4%)를 1순위로 꼽았으며, ‘사업영역 보호’(43.9%), ‘사업 활성화 지원’(38.1%), ‘노동시간 단축 지원’(28.7%)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특히 소매업에서 ‘사업 영역 보호’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대형마트, 복합쇼핑몰 등으로 인한 골목상권 침탈에 대한 우려로 소매업 분야에서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 등 사업 영역 보호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윤규 중소기업중앙회 산업통상본부장은 “한국은 주당 노동시간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중 두 번째로 긴 ‘과로사회’로, 특히 생계형 자영업이 많은 우리나라 소상인 특성상 일과 삶의 균형은 매우 열악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안전망 구축이 절실하다”며 “정부가 소상인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일자리 안정자금과 두루누리 사회보험 지원 등 기존 제도와 더불어 임대료 상한제와 같은 젠트리피케이션 대책, 전략적 창업을 위한 상권정보시스템 개선, 온·오프라인 카드수수료 인하, 생계형 적합업종 법제화, 폐업 시 재출발지원 등 넓은 차원에서 촘촘하게 사회안전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해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