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서울경제TV] 채용비리 의혹 대응 나선 최흥식 ‘여의봉 잣대’ 논란

[앵커]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이 본인이 연루된 채용비리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독립된 특별검사단을 구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 원장이 과거 하나금융지주 사장으로 재직할 당시 하나은행에 친구 아들의 채용을 청탁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데 따른 대응입니다.

그러나 “이름만 전달했을 뿐 인사에 관여하지 않아 비리로 볼 수 없다”는 기존 해명을 되풀이 해, 금융권 채용비리 척결을 외치던 최 원장이 여의봉 잣대를 들고 있다는 비판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정훈규기자입니다.

[기자]

최흥식 금감원장이 본인의 채용비리 의혹을 규명할 특별검사단을 꾸리고 조사 결과 책임질 사안이 있으면 응분의 책임을 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최 원장은 “특정인을 취업시키기 위해 하나은행 인사에 간여할 사실은 없다”는 기존 해명을 되풀이했습니다.

금감원은 지난 주말 최 원장이 2013년 하나금융지주 사장 시절 하나은행 채용에 관여했다는 의혹이 일자 “단순 전달이었다”는 해명자료를 내놓으며 하나금융 측에 “비리 증거가 있다면 제출해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하나금융은 “자체 조사 결과 최 원장이 추천한 지원자에 대한 점수 조작은 없었다”고 답했습니다.

최 원장과 금감원의 논리는 전달만 했기 때문에 점수 조작 등 채용비리와 다르다는 겁니다.


그러나 이 같은 해명 내용과 과정은 논란을 더 키우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은행 관계자들은 “기존에 나왔던 사례와 유사한 사례”라며 “다 그 얘기 아니었냐”고 반문했습니다.

최 원장이 여의봉을 들었다는 우스갯소리도 나옵니다.

최고 경영자는 채용비리를 몰랐다 해도 내부통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압박하더니 최 원장이 자신의 문제에는 느슨한 잣대를 대고 있다는 겁니다.

또 해명 과정에서 피감기관인 하나금융을 방패로 내세운 점도 문제로 지적됩니다.

금감원이 채용 비리 혐의가 있다고 검찰에 통보한 하나은행 측에 최흥식 원장만큼은 문제가 없었다고 말해달라 부탁한 것과 다름없기 때문입니다.

최 원장은 ‘단순 전달’과 ‘채용 비리’를 구분해 대응하고 있지만, 사장이 지인 아들 이름을 인사 담당자에게 전달한 행위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시각이 많습니다.

금감원 해명 이후 정치권은 여야를 막론 “황당한 답변”이라거나 “설득력 없다”는 비판과 함께 수사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유한국당은 “역시 문재인 정부는 ‘내로남불’ 챔피언”이라며 “사실이라면 최흥식 원장을 사퇴시키고 사법절차를 밟으라”고 청와대를 압박했습니다.

[영상편집 이한얼]

정훈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