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평화·정의 '전략적 동거' 순탄할까

"적극 추진" 공동교섭단체 임박

정체성 훼손, 선거 역풍 불수도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의 공동교섭단체 구성이 임박함에 따라 국회 상임위원회 위원장과 간사 자리 배정 등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 외형 확장으로 발언권은 커지겠지만 서로 다른 정체성 탓에 ‘전략적 동거’가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는 13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촛불광장에서 나온 국민들의 요구를 더 실현하기 위한 몸부림의 일환”이라며 공동교섭단체 구성에 의미를 부여했다. 앞서 평화당은 외연 확장을 위해 정의당에 공동교섭단체 구성을 제안했고 정의당은 지난 11일 긴급 의원총회를 열어 ‘적극 추진’으로 의견을 모았다. 평화당과 정의당의 의석은 각각 14석, 6석으로 공동교섭단체 구성 요건(20석)을 충족한다.


논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향후 상임위 운영을 비롯한 원내 구도 개편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교섭단체의 경우 국회 내 상임위원장과 상임위 간사를 낼 수 있다. 평화당은 현재 두 명의 의원이 교육문화체육관광위(유성엽)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장병완) 위원장을 맡고 있다. 그러나 모두 평화당 창당 전인 20대 국회 전반기에 국민의당 몫으로 배정받은 것이라 하반기에는 자리를 내놓아야 한다.

관련기사



두 당은 선거제도 개혁을 비롯해 범여권이 공동 대응할 수 있는 이슈에 발을 맞춘다는 계획이다. 특히 소수 정당에 유리한 중대선거구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은 양당이 뜻을 같이하는 최대 과제다. 그러나 이번 공동교섭단체 구성이 양당의 정체성을 훼손해 득보다는 실이 많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평화당은 호남, 정의당은 노동계의 반발에 부닥쳐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것이다. 양당 지도부도 이 같은 우려를 의식한 듯 ‘독자성 유지’를 강조하며 진화에 나섰다. 김경진 평화당 의원은 라디오에 출연해 “국회의 의사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극대화한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정체성 훼손 문제는 전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정의당은 오는 17일 열리는 전국위원회에서 평화당과의 협상 개시를 위한 승인을 받고 본격적인 공동교섭단체 구성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