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수술대 오른 금융산업]코드 맞춘 사외이사 잇단 투하...어떻게 개혁하나

文 연수원 동기, 참여정부 출신

3대금융지주 모두 대거 추천

정치권도 "신적폐인사" 비판

금융지주사들이 사외이사를 대거 물갈이하는 대신 문재인 대통령의 사법연수원 동기 등 친정부 인사를 앉혀 논란이 되고 있다. 야당은 “문재인 정부의 신적폐 코드인사”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과 하나금융은 각각 문 대통령의 사법연수원 12기 동기인 박병대 전 대법관과 박시환 전 대법관을 사외이사로 신규 추천했다. 이 중 박시환 전 대법관은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당시 노 전 대통령 대리인단에 참여했다. KB금융은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과 경기고 동문인 선우석호 교수와 정구환 변호사를 올렸다. 선우 교수는 장 실장과 논문을 공동집필할 정도로 인연이 있고 정 변호사는 노무현 정부 시절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조정위원장을 지냈다. 이번에 교체되는 사외이사 수는 KB금융 3명, 신한금융 3명, 하나금융 5명으로 30~40%를 정권 코드에 맞춘 셈이다. IBK기업은행은 문 대통령 후보 지지 선언을 한 민주금융발전네트워크의 김정훈 전문위원을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당국의 지배구조 개선 압박에 한 금융지주 회장은 “사외이사 선임에 전혀 관여하지 않고 있다”고 말해 사외이사 선임에 외부 입김이 고스란히 작용해 신관치 논란 우려도 나온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6월 지방선거 이후 대규모 보은 인사가 예상돼 그 전에 각종 연을 잡아 자리를 찾으려는 움직임은 더욱 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야당의 비판도 커지고 있다. 김성원 자유한국당 원내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친문(친문재인) 인사들이 금융권 사외이사에 대거 이름을 올리고 있다”며 “금융지주에서 새로 선임되는 사외이사에 문 대통령의 사법연수원 동기들, 청와대 인사와 인연이 있는 사람, 노무현 정부 인사 등이 후보로 올랐다”고 말했다. 바른미래당은 현재 진행 중인 금융기관 사외이사 임명과 관련해 ‘권력기관 출신 및 친문 인사 사외이사 취임 진상조사특위’를 구성해 실태 파악에 나서기로 했다. 지상욱 정책위의장은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역대 어느 정권도 사외이사의 달콤한 유혹과 방만한 경영, 감시 의무 태만을 피해가지 못했다”며 “친문 인사들도 금융권 사외이사 명단에 이름을 올렸는데 이렇게 하면 안 된다. 정말 들여다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