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피 한방울로 췌장암 조기발견 가능해진다

JW홀딩스 연세대와 기술이전

세계 첫 진단키트 상용화 나서

한성권(오른쪽) JW홀딩스 사장과 백융기 연세대 특훈 교수가 혈액검사만으로 췌장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다중 바이오마커 진단키트’에 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후 악수하고 있다. /사진제공=JW홀딩스한성권(오른쪽) JW홀딩스 사장과 백융기 연세대 특훈 교수가 혈액검사만으로 췌장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다중 바이오마커 진단키트’에 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후 악수하고 있다. /사진제공=JW홀딩스



JW홀딩스(096760)가 세계 최초로 혈액검사만으로 췌장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진단키트 개발에 나선다.


JW홀딩스는 연세대학교와 ‘다중 바이오마커 진단키트’에 관한 독점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상용화에 나선다고 15일 밝혔다. 백융기 연세대 언더우드 특훈 교수팀이 개발한 이 기술은 췌장암 초기와 말기 환자에게 각각 발현되는 물질을 동시에 활용해 암의 진행 단계별 검사가 가능한 혁신적인 진단 플랫폼이다. 말기 환자에게 주로 반응하는 암 특이적 항원 ‘CA19-9’를 검사하는 방법은 기존에도 있었지만 초기 환자군에 나타나는 ‘CFB’로 췌장암을 진단하는 기술은 아직 나온 바가 없다. 백 교수팀이 개발한 이 원천 기술은 2014년 단백체 분야 저명학술지인 ‘저널 오브 프로테움 리서치’를 통해 발표된 바 있다.

관련기사



백 교수팀은 이후 총 3차례에 걸친 연구자 임상을 통해 이 기술을 통한 각 병기별 췌장암 환자 진단율이 90% 이상 정확하다는 사실과 췌장암과 다른 암을 구분해 내는 ‘특이도’도 98%에 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JW홀딩스는 앞으로 손자회사인 JW바이오사이언스를 통해 상업화를 위한 진단 키트 개발과 임상시험 등을 진행한다. JW바이오사이언스는 백 교수팀과 함께 향후 500명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다기관 임상시험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JW홀딩스 관계자는 “췌장암을 조기에 발견해 수술, 항암화학요법 등의 치료를 하는 것이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지만, 현재까지 FDA 허가를 받은 조기 췌장암 진단 마커가 없는 상황”이라며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췌장암 다중 진단 키트의 상용화를 이른 시일 내 마무리해 진단 분야의 미충족 수요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