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해외여행자보험 악용한 사기범들 대학생·사회초년생 많아

금감원, 해외여행보험·배상책임보험 사기 등 대거 수사 의뢰

해외여행자보험의 ‘해외여행 중 도난 및 피해’를 보상하는 약관을 노리고 보험금을 받아 가로챈 혐의자들이 대거 적발됐다./연합뉴스해외여행자보험의 ‘해외여행 중 도난 및 피해’를 보상하는 약관을 노리고 보험금을 받아 가로챈 혐의자들이 대거 적발됐다./연합뉴스



해외여행자보험을 악용해 수십만원에서 수백만원을 받아 챙긴 보험사기범들이 대거 적발돼 경찰에 넘겨졌다.

금융감독원은 해외여행 중 도난 피해를 보상하는 해외여행자 보험의 약관을 노리고 물건을 도둑맞거나 물건이 파손됐다고 속이는 등의 수법으로 보험금을 받아 가로챈 혐의자 11명을 서울지역 경찰에 수사 의뢰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이들 중 A씨는 해외여행자보험에 여러 건 가입하고 나서 “해외여행 중 구입한 명품 가방을 도난당했다”고 신고했다. A씨는 같은 영수증으로 4곳의 보험사에 도난 신고를 했다. 각각 도난 날짜를 다르게 해 보험사를 속였다. B씨는 해외여행자보험에 가입하고 나서 여행 중 카메라 액정이 깨졌다고 신고해 7차례에 걸쳐 200만원을 받아 챙겼다. B씨는 액정 수리견적서 발급 날짜를 조작했다. 이들은 주변의 경험담과 블로그에서 보험사기 수법을 배운 것으로 전해졌다.


해외의료비 지급 한도가 1,000만원인 해외여행자보험에 가입해 미국의 한 병원에서 상해 부위를 발목, 손목, 어깨 등으로 바꿔가며 장기간 치료받았다면서 2,100만원을 받은 사례도 적발됐다. 금감원은 해외여행자보험의 해외의료비 지급 항목을 노려 보험사기를 저지른 80명을 적발해 최근 부산지역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

관련기사



배상책임보험을 이용한 사기도 적발됐다. 지난해 음식점 업주 C씨는 종업원 D씨가 음식을 나르던 중 넘어져 다치자 D씨를 고객으로 조작해 보험사에 신고, 영업배상책임보험금 45만원을 타냈다. 영업배상책임보험은 영업장에서 영업행위 중 우연한 사고로 다른 사람의 신체나 재물에 피해를 준 경우 법률상 책임을 보상한다.

스마트폰을 떨어트려 액정이 깨지자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한 자신의 친구가 액정을 깬 것으로 신고해 보험금 30만원을 받아낸 경우도 있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들은 대부분 경험이 많지 않은 사회초년생이나 대학생 등 젊은층이었다”며 “소액을 손쉽게 얻을 수 있다는 유혹에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소액보험사기가 2014년 8만4,385명, 지난해 상반기엔 4만4,141명 등 계속 적발되고 있다고 밝혔다.

/장아람인턴기자 ram1014@sedaily.com

장아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