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더블케어의 덫에 빠진 5060 세대

김경록 미래에셋은퇴연구소장




우리나라는 50대 고독사가 가장 많다. 전체 고독사 중 28%를 차지하고 이 중 남성의 비중이 90%라고 한다. 고독사는 무연고 사망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전체 실상은 아니지만 조기퇴직·생활고, 가족의 해체 등과 같은 중년들의 어려운 상황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가 2017년 12월에 50~69세 2,001가구를 대상으로 가족 간의 경제적 관계를 조사한 결과 더블케어(double care)의 덫에 빠져 있는 5060세대를 볼 수 있었다.

더블케어는 일본에서 만혼이 많아지면서 학교에 다니는 어린 자녀와 노부모를 동시에 돌봐야 하는 상황에서 나온 말이다. 그러다 보니 4050세대가 주로 해당한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결혼뿐 아니라 취직하지 못한 자녀까지 돌봐야 하다 보니 연령이 늦춰져서 더블케어가 5060세대의 문제로 떠올랐다. 더블케어는 구체적으로 자녀와 부모 생활비, 노부모 간병비, 자녀 목돈 지원 등을 포함한 것으로 정의한다. 동 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5060세대의 더블케어는 다음의 세 가지 특징을 보였다.


첫째, 더블케어 비용이 고정비로 자리 잡고 있다. 더블케어 중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35%를 차지한다. 이들 더블케어 가구 중에서 성인 자녀와 노부모 생활비를 지원하는 가구가 25%였고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에 달했다. 양측 생활비에 노부모 간병까지 하는 경우 지원금액이 가구 소득의 30%로 껑충 뛰어오른다. 생활비와 간병비는 정기적으로 필요한 최소 수준이 있기 때문에 고정비 성격을 띤다. 이렇게 보면 5060세대 3가구 중 1가구 이상이 고정비 성격의 더블케어 비용으로 소득의 20~30%를 부담하는 셈이다.

관련기사



다음으로 50대보다 60대가, 고소득보다 저소득 가구의 부담이 많다. 소득 가운데 자녀와 부모에 대한 생활비 지원이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50대는 19%인데 60대는 25%에 이른다. 60대는 가구 소득이 50대에 비해 줄어드는 반면 생활비 지원금액은 늘어나다 보니 부담이 가중된 것이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가구는 생활비 지원액이 소득의 28%를 차지하지만 소득이 가장 높은 5분위 가구는 16%를 차지한다. 성인 자녀와 노부모에 대한 생활비 지원은 최소한의 금액이 있어서 가구 소득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성인 자녀에 대한 목돈 지원이 많다. 더블케어 가구에서 생활비와 간병비 이외에 성인 자녀 목돈 지원이 평균 4,700만원을 차지한다. 성인 자녀가 1명일 경우 목돈 지원금액이 2,900만원이지만 2명은 5,200만원, 3명은 6,400만원으로 늘어난다. 대부분 가구가 학자금으로 평균 3,000만원 정도를 지원하고 있고 주택자금의 경우 18% 가구에서 평균 6,400만원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자녀에 대한 목돈 지원은 ‘부담이 되더라도 계속 해주고 싶다’는 가구가 70%에 이를 만큼 자녀에 대한 책임감이 높은 편이다.

더블케어는 5060세대의 새로운 도전과제다. 노후설계라는 큰 그림에서 부양에 대한 기준을 미리 설정하고 가능하다면 더블케어에 대한 재정적 준비도 해둬야 한다. 어린이펀드 등으로 교육비를 일찍 준비하고 자녀의 결혼자금이나 주택자금은 노후 생활비를 감안해 통제할 필요가 있다. 노부모의 경우 건강보험·민간보험·요양 등을 체크해보고 이에 관해 가족 간에 대화를 나눠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