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S 리포트:소자본창업, 혁신을 다시 본다]청년실업 돌파구라더니...푸드트럭 3대중1대 폐업

[소자본창업, 혁신을 다시 본다]

입지난·상권마찰로 속속 문닫아

퍼주기식 청년일자리대책보다

'혁신 소자본창업' 지원 늘려야




# 식자재 관련 기업에서 5년을 근무하다 지난 2016년 말 퇴직한 정모(30)씨. 퇴직금과 부모님 지원으로 4,000만원을 마련해 중고 푸드트럭을 구입한 뒤 영업을 시작했다. 서울시에 등록된 그의 푸드트럭은 ‘밤도깨비 야시장 축제’ 행사 참여 등 활발한 영업활동을 벌였지만 상시 영업허가 지역을 찾지 못하면서 운행 1년 만인 지난해 말 사업을 접고 말았다. 행사기간 외에는 영업허가지가 아닌 곳에서 불법영업 등으로 근근이 꾸려갔지만 단속과 지역 민원 등으로 쫓겨가기 일쑤였다. 그래서 애써 자리 잡은 지역은 유동인구가 거의 없는 공사장 인근이라 하루 매출이 5만원도 채 되지 않는 날이 허다했다.

푸드트럭은 소자본 청년창업의 대표 아이템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으로 영업신고 푸드트럭은 626대, 여기서 폐업 중인 트럭은 192대다. 허가된 푸드트럭의 3분의1 정도가 폐업 중인 셈이다. 서울시는 푸드트럭의 한정기간 등록에 따른 것이라고 했지만 결국 상당수 푸드트럭은 운행되지 않고 있다. 서울시는 수년 전부터 등록 푸드트럭 1,000대 확대를 추진해왔지만 증가속도는 미미하다.


푸드트럭은 박근혜 정부 때인 2014년 청년창업 활성화의 대안으로 규제 완화가 추진됐다. 당초 2,000대 이상, 6,000개의 일자리를 기대하면서 지난 4년 동안 자동차관리법·식품위생법·도로교통법 등 각종 규제를 풀고 지방자치단체도 푸드트럭 존을 확대해왔다. 그럼에도 2017년 12월 말 기준으로 451대(식품의약품안전처 기준)에 그쳤다.

관련기사



반면 정부가 푸드트럭 규제 완화를 시작할 당시 벤치마킹 대상으로 삼았던 미국은 매년 7%대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새로운 창업 분야로 각광 받으며 ‘아메리칸 드림’의 표상이 되고 있다.

우리 역시 최근 정부의 재정 퍼주기식 청년일자리 대책보다 푸드트럭 같은 혁신 소자본창업에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늘려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강병호 중앙대 산업창업대학원 창업컨설팅과 교수는 “푸드트럭은 외식산업에서 ‘혁신’의 중요한 시험대”라며 “이들 분야의 혁신을 정부가 체계적으로 지원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사단법인 한국푸드트럭협회의 하혁 회장은 “푸드트럭 창업에 대한 젊은 층의 관심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그럼에도 상시입지난(難), 기존 상권과의 마찰 등으로 합법적인 푸드트럭의 실제 증가세는 미미하다”고 설명했다. /탐사취재팀=온종훈선임기자 이지윤기자 jhohn@sedaily.com

온종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