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피부미용서 피부암 치료까지…휴대 편한 'OLED 반창고' 나왔다

KAIST-서울대 분당병원 공동연구팀 개발

두께 1㎜·무게 1g 넘지않고 휘어진 상태로도 구동 가능

광치료 휴대성 높여…"우울증치료 등 응용범위 높일 것"

KAIST와 서울대 분당병원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웨어러블 OLED 광치료 패치. /연합뉴스=한국연구재단 제공KAIST와 서울대 분당병원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웨어러블 OLED 광치료 패치. /연합뉴스=한국연구재단 제공



반창고 등에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를 부착해 피부에 난 상처가 쉽게 아물게 하는 ‘웨어러블 광(光)치료 패치’가 국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피부미용뿐만 아니라 피부암 치료나 치매·우울증 치료까지 활용도가 높다고 분석했다.


한국연구재단은 KAIST 최경철 교수·전용민 연구원과 서울대 분당병원 박경찬 교수·최혜령 연구원 공동연구팀이 OLED를 활용한 광치료 패치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광치료는 피부에 빛을 쏘여 인체 생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치료 방법으로 그동안 발열과 휴대성, 유연성 등에서 한계를 보여왔다.

관련기사



연구팀이 개발한 광치료 패치는 OLED, 배터리, 과열방지 장치, 패치가 모두 얇은 막 형태로 설계돼 두께는 1㎜를 넘지 않는다. 무게도 1g 미만이다. 300시간 이상 작동시킬 수 있고 반경 20㎜ 안에서 휘어진 상태로 구동할 수 있어 다양한 인체 부위에 붙일 수 있다. 국제표준화기구(ISO) 기준 안전성 검증도 받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병원에 가지 않고도 쉽게 광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용민 연구원은 “웨어러블 광 치료 패치의 뛰어난 치료 효과와 편리함을 부각한 기술”이라며 “광 출력을 조절하면 피부미용, 피부암, 치매 치료, 우울증 치료 등 응용 범위를 넓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테크놀로지’(Advanced Materials Technologies) 8일 자에 게재됐다.


조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