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S리포트] "소자본창업 정부지원 확대...기술창업은 민간자본 연계해야"

■전문가 '투트랙 전략' 조언

이민화 창조경제연구소 이사장·KAIST 교수이민화 창조경제연구소 이사장·KAIST 교수



전문가들은 푸드트럭 등 소자본 창업 분야에는 지원을 보다 체계화하고 상대적으로 자본이 많이 필요한 기술창업 등에 대해서는 민간의 자본이 흘러가게 하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하혁 한국푸드트럭협회장은 “최근 청년실업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소자본으로 시작할 수 있는 푸드트럭 창업에 대한 젊은 층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이 같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은 제대로 보이지 않고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에 통일성도 없다”고 말했다. 하 회장은 “소자본이라고 하지만 젊은 창업자 대부분이 가진 것을 모두 투입해야 하는 규모”라며 정부의 규제 완화와 지원을 촉구했다. 그는 미국처럼 민간에도 영업지를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 푸드트럭을 비롯한 소자본 업종에도 자율적인 경쟁시장이 형성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이민화 창조경제연구회 이사장은 “현재 정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정보기술(IT)·신기술·벤처 분야 지원책은 창업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옥죄고 망치는 꼴로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는 벤처 생태계가 구성돼야 한다”며 “소자본 창업에 대한 지원 기반은 강화하는 한편 기술창업 분야에 창업투자나 엔젤투자 등 민간 투자와 코스닥 등 투자 회수 시장을 활성화해 투트랙 전략으로 청년창업자들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낮추고 재기 가능성을 높이는 게 관건”이라고 꼬집었다. /이지윤기자 lucy@sedaily.com

이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