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입전형료, 지원자 예상치 등 반영해 산정…“부담 줄어들 것”

교육부령 개정안 입법예고

홍보비 지출 상한선 낮추고, 산출 근거 명확히

교육부는 대학 입학전형료를 대학이 구체적인 기준에 따라 산정하는 내용의 규칙 개정안을 40일간 입법 예고한다고 19일 밝혔다./연합뉴스교육부는 대학 입학전형료를 대학이 구체적인 기준에 따라 산정하는 내용의 규칙 개정안을 40일간 입법 예고한다고 19일 밝혔다./연합뉴스



대학들이 입학전형료를 앞으로 전형별 지원자 수 예상치와 입학전형 운영 인원 등에 따라 책정하게 된다. 지금까지는 구체적인 기준 없이 산정해왔다.

교육부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대학 입학전형 관련 수입·지출의 항목 및 산정방법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20일부터 40일간 입법 예고한다고 19일 밝혔다. 기존 규칙은 입학전형료에 대한 산정 기준과 지출항목 규정이 다소 모호해 각 대학이 뚜렷한 근거 없이 전형료를 걷는 다는 비판이 있었다.


새 규칙은 대학이 전형료를 결정하는 기준을 입학전형 업무자에게 주는 ‘수당’과, 홍보비·회의비·인쇄비 등으로 구성된 ‘경비’로 나눴다. 이런 수당과 경비는 대학의 ‘대학입학전형관리위원회’가 전형별 지원자 수와 전형 과정에 투입되는 인원, 시간, 학교별 지급단가 등을 근거로 산정하도록 했다. 또 대학이 입학전형료를 사용할 수 있는 수당·홍보비·회의비 등 12개 항목의 규정을 구체화했다. 수당의 경우 학교별 규정에 의해 지급할 수 있던 것을 △출제 △감독 △평가 △준비 및 진행 △홍보 △회의 등 6가지 활동에만 지급하도록 했다. 회의비는 대학이 주최하는 입학전형 관련 회의에 한해 쓸 수 있도록 했다.

관련기사



홍보비는 지출 상한선을 5%포인트씩 낮췄다. 입학정원이 2,500명 이상인 대학은 총지출 대비 홍보비 비율을 기존 최대 20%에서 앞으로는 15%로 맞춰야 한다. 입학정원 1,300명 이상 2,500명 미만인 대학은 홍보비를 총지출의 25%, 1,300명 미만인 대학은 35%까지 쓸 수 있다. 새 규칙은 또 지출항목에 대해 산출할 때는 근거를 명확히 해야 한다. 컴퓨터 구입이나 차량 대여 등 자산 취득·운용 성격으로 전형료를 쓰지 못하도록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새 규칙 개정안에 대해 “대입전형료 수입·지출에 대한 합리적이고 투명한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학생·학부모의 부담이 크게 완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장아람인턴기자 ram1014@sedaily.com

장아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