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오시리아 관광단지를 품다 ‘더셰프월드 센트럴원’ 성황리 분양 중

▶ 상가 앞 오시리아 테마파크 위치해.. 최대 수혜지로 배후수요 ‘탄탄’

▶ 한국토지신탁과 세정건설이 책임준공, 중도금대출은행 신한은행 확정 등 안정성 자랑

▶ 이케아, 아쿠아월드, 롯데몰 등.. 대규모 개발호재도 ‘청신호’

▶ 지하 1층~지상 6층 판매시설 총 360실 공급

최근 부산의 중장기 비전 ‘동북아시대의 해양수도’가 본격적 개발에 돌입하며 국내 최대 규모의 관광단지를 조성해 투자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대규모 관광단지가 조성되는 곳은 교통망 확충, 인프라 개발, 풍부한 투자, 유동인구의 증가로 주변 상권 발달과 함께 지역 내 발전동력 확보로 이어진다. 특히 관광객의 증가는 유동인구 증가,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고, 관광단지 내 종사자 증가로 연결됨에 따라 풍부한 배후수요도 기대할 수 있다.


대표적인 곳이 오시리아 관광단지다. 도심형 사계절 명품 관광단지로 조성되는 오시리아 관광단지는 사업지 4조원이 투입되는 부산도시공사의 대형 프로젝트다. 관광단지는 글로벌 투자, 테마파크, 쇼핑, 문화 등 대규모 개발호재가 예고돼있다.

이에 오시리아 관광단지를 배후수요로 둔 ‘더셰프월드 센트럴원’이 성황리 분양 중이라 눈길을 끈다. 한국토지신탁이 시행하고 세정건설이 시공하며 신한은행이 중도금대출을 하는 ‘더셰프월드 센트럴원’은 부산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 718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연면적 4만871㎡ 지하 1층~지상 6층, 360개 점포 규모로 조성된다.




◆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 핵심입지.. 푸드타운 특색으로 차별화 ‘명품공간’자랑


‘더셰프월드 센트럴원’은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 노른자 입지를 자랑한다. ‘더셰프월드 센트럴원’은 국내 매출 1위 롯데아울렛, 롯데마트 핵심 길목에 위치한다. 롯데월드 약 4배 규모의 오시리아 테마파크(2019년 예정)와 쇼핑시설과 문화·체험시설, 놀이시설로 조성되는 이케아(2019년 예정)입점, 아시아 최대 라군형 아쿠아월드와 이색 수중호텔(2019년 예정)이 나란히 위치해 핵심입지와 풍부한 개발호재를 자랑한다.

관련기사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 유일한 푸드타운이란 점도 눈길을 끈다. 스트리트형으로 조성되는 ‘더셰프월드 센트럴원’은 최현석, 오세득, 유현수 셰프 등 국내 유명 셰프가 소속된 ㈜플레이팅컴퍼니의 입점과 함께 인지도 높은 프렌차이즈 업종과 MD를 구성해 차별화 했다. 또 각 상가마다 컨셉에 맞추어 외관을 특화해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점도 눈길을 끈다.

교통망도 뛰어나다. ‘더셰프월드 센트럴원’ 관광단지와 부산∼울산고속도로와 바로 연결하는 오시리아나들목(IC)이 개통됐으며, 인근에 위치한 오시리아역을 이용하면 해운대 신시가지까지 6한 번에 연결된다. 또 부산울산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제2지선, 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등 전국 어디서나 편리하게 연결돼 광역교통망 이용에 수월하다.

◆ 유럽형 외관 디자인, 스트리트몰, 차별화된 특화설계 등.. ‘고품격’ 자랑

‘더셰프월드 센트럴원’은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 가장 이색적인 공간을 자랑한다. 런던의 건축모티브를 살려 유럽의 정취와 문화를 느낄 수 있는 내/외관을 특화 설계를 적용했다. ㅂ자형 외관과 쾌적함과 개방감을 살린 아트리움 설계,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는 채광 특화된 유리천장 등 명품설계가 돋보인다. 또 2.6km의 스트리트를 조성해 생활문화시설을 한 번에 즐길 수 있어 완성된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다.

또한 고객들이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럽형 옥상정원과 준공 후 메인출입구와 상가 내부에 방송촬영장으로도 활용 가능한 세트장을 설치하여 상가가치를 더욱 높일 계획이다. 중정을 도입해 개방감도 높이고 고객들의 동선이 편리하도록 설계하였다.

한편 ‘더셰프월드 센트럴원’ 분양 홍보관은 부산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 717-5번지에 있다. 부산시 해운대구 양운로 53(좌동) 투모로우 오피스텔 111호와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1488번지 대우월드마크 센텀 제상가동 1층 120호에서 거점 사무실을 동시에 운영 중이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