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각 대학과 함께 2018년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를 한다고 21일 밝혔다.
대학졸업자 취업통계 조사는 2004년부터 해마다 실시하며, 2010년부터는 건강보험 등 공공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취업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취업통계가 진로 결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전공별 취업현황과 급여 수준, 업체 규모 등 종전보다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교육부는 언급했다.
대학 유형별, 전공별, 산업 분야별, 업체 규모별 취업자 수와 급여 수준 등 세분화된 정보가 취업통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전공별로 주로 취업하는 분야와 해당 업계 급여 수준도 알 수 있다. 교육부는 이날 열린 대학 관계자 연수에서 취업통계가 올바르게 활용되도록 무분별한 광고를 자제할 것을 당부하고, 취업률 과장 대학은 제재를 강화하겠다고 경고했다.
취업률 통계에서 모집단을 대학 유형, 지역, 학생 수 등 단위로 축소해 취업률 1위로 표기하는 대학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00권 전문대학 중 1위’, ‘3,000명 이상 비수도권 대학 취업률 1위’ 등이 대표적 사례다. 대학 자체 통계를 교육부 취업통계와 혼용해 공식 자료인 것처럼 꾸미는 일도 있다.
김영곤 교육부 직업교육정책관은 “실제 취업하지 않았는데도 취업한 것처럼 꾸며 통계를 부풀리는 대학도 있다. 이런 대학은 현장조사를 거쳐 일부 인원 모집정지 등 별도의 제재 방안을 강구하는 등 엄정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취업통계는 2017년 2월과 2016년 8월 졸업생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31일 기준 취업 여부를 조사한다. 이후 매 분기 취업 상태를 유지하는지도 확인한다. 조사 결과는 각 대학의 기초자료 제출과 취업 여부 조사를 거쳐 자료를 검증한 뒤 오는 12월 발표한다. 자세한 결과는 내년 1월 교육부(www.moe.go.kr)와 교육개발원(kess.kedi.re.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6년 실시한 ‘2017년 취업통계’ 조사에서는 고등교육기관 취업률이 2015년보다 0.2%포인트 오른 67.7%를 기록했다. 대학 졸업자가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도 취업한 직장에서 계속 근무하고 있는지 조사한 유지 취업률은 76.8%로 집계됐다. /한상헌인턴기자 aries@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