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4조 추경 정부가 자초" 해외IB의 냉정한 진단

SC '남한-청년 실업' 보고서

해외IB가 본 ‘일자리 추경’ 편성 이유



정부는 지난 15일 “악화하는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4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겠다”고 밝혔다. 청년 고용 부진의 원인은 기술 혁신에 따른 자동화, 노동시장 이중구조, 인구구조 변화 등으로 진단했다. 누적돼 온 ‘구조적 문제’라는 얘기다. 정곡을 빗나간 정책 문제에 대한 자성은 없었다. 하지만 해외 투자은행(IB)은 달리 봤다. 현 정부의 정책도 고용 부진에 일조했고 이것이 추경 편성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21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영국계 IB인 스탠다드차타드(SC)는 최근 이런 내용을 담은 ‘남한-청년 실업 줄이기(South Korea-Reducing youth employment)’라는 보고서를 내놨다. SC는 추경 편성 배경을 4가지로 분석했다. △청년실업 상승이 경제성장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 차단 △최저임금 인상으로 고용 감소 △부동산 규제로 건설 고용 감소 우려 △중국 관광객 회복 부진 등이다. 우선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 SC는 정책 영향으로 “저임금·저숙련 일자리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최저임금 인상에 민감한 도소매, 교육서비스 업종에서 지난 1월 고용이 각각 0.8%, 3.5% 줄었다는 통계도 인용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이들 두 업종은 2월에도 일자리가 2.4%, 2.9% 감소했다. SC는 최저임금 외에도 부동산 시장 규제로 건설 경기가 위축되면서 관련 산업의 일자리 축소 우려도 커졌음을 지적했다.

관련기사



이렇듯 추경 편성 이유 4가지 중 절반이 현 정부 정책에 있다면 정부도 최근 고용 부진의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수조원에 이르는 추경을 정부가 자초한 측면이 있다는 것으로 풀이될 수 있다.

금융업계의 한 관계자는 “시장에선 정부가 ‘일자리 최우선’을 표명하면서도 일자리 창출을 저해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모순이라는 평가가 나온다”며 “해외IB의 분석도 이런 맥락이어서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