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민 60세 이상 4명 중 3명은 자녀와 함께 살 의향 없어

경기도에 사는 60세 이상 고령자 4명 중 3명은 앞으로 자녀와 함께 살 의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경기도가 통계청 사회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60세 이상 경기도민 가운데 ‘향후 자녀와 함께 살고 싶다’고 응답한 비중은 24.6%다. 나머지 75.4%는 ‘자녀와 같이 살고 싶지 않다’고 응답했다. 현재 자녀와 따로 사는 60세 이상은 59.5%로 주 된 이유는 ‘본인의 독립생활이 가능(32.4%)’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으며, 이어 ‘따로 사는 것이 편해서(29.6%)’, ‘자녀에게 부담 될까 봐(20.8%)’ 등으로 순으로 조사됐다.


이에 반해 현재 자녀와 함께 살고 있다고 답한 60세 이상은 40.5%로 동거하는 주된 이유는 ‘자녀의 독립생활이 불가능해서’라는 응답이 28.7%로 가장 높았으며, ‘손자녀 양육 및 자녀의 가사를 돕기 위해서’라고 답한 10.5%를 포함하면 39.2%가 자녀를 부양하기 위해서 함께 사는 것으로 확인됐다.

‘모두의 독립생활이 가능하지만, 같이 살고 싶어서(35.4%)’라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 72%도 앞으로 따로 살고 싶다고 응답한 것으로 확인됐다.


부모들의 인식 변화와 함께 노부모 부양 가치관도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지난 2016년 기준 통계청 사회조사 자료에 따르면 ‘부모의 노후를 누가 책임 져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15세 이상 경기도민 중 31.0%가 ‘가족(자녀) 전적 책임’이라고 답했다. 이는 지난 2006년 61.3%보다 10년 새 절반으로 줄었다.

이에 반해 부모 부양은 ‘가족(자녀) 및 정부·사회 공동책임’이라는 인식은 지난 2006년 28.3%에서 2016년 48.2%로 증가했다. ‘부모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도 2006년 8.0%에서 2016년 15.2%로 증가했다.

부모 부양에 대한 자녀 의무감은 매우 줄어든 대신 가족과 국가가 함께 책임져야 한다는 인식이 주된 부양 가치관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경기도 4가구 중 한 가구는 60세 이상 고령 가구주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경기도 60세 이상 고령가구는 110만9,000가구로 전체 가구 중 24.4%에 달했으며, 이는 12년 전(2005년 55만7,000가구)보다 2배 증가했다.

박종서 경기도 빅데이터담당관은 “이번 분석 결과는 앞으로 고령화와 가족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