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새떼와의 전쟁...'매 드론' 납시오

인천공항, 조류충돌 차단위해

특별 제작 드론 하반기 도입

22일 인천시 영종도 인천공항 활주로 인근 조류서식지에서 인천국제공항공사 소속 조류퇴치전담팀 소속 요원들이 조류퇴치용 드론 비행을 시연하고 있다./사진=인천국제공항공사22일 인천시 영종도 인천공항 활주로 인근 조류서식지에서 인천국제공항공사 소속 조류퇴치전담팀 소속 요원들이 조류퇴치용 드론 비행을 시연하고 있다./사진=인천국제공항공사



“관제탑, 여기는 조류통제 1호, 지금부터 드론을 이륙해 조류퇴치 업무를 수행하겠습니다.”(조류퇴치전담팀 안전통제요원)

“사전에 승인된 계획과 운용절차에 따라 운항 안전에 유의해 비행하기 바랍니다.”(관제탑)


22일 인천공항 활주로 인근 영종도 북측 조류서식지. 드론 비행을 앞두고 관제탑과 조류퇴치 전담요원의 무전이 오갔다. 잠시 후 관제탑으로부터 드론 비행 승인을 받은 요원이 매의 형상을 한 드론 1대를 상공에 띄웠다. 드론이 저공비행을 하며 천적 울음소리와 공포탄 소리를 내자 풀숲에 숨어 있던 새 수백 마리가 한꺼번에 하늘 위로 날아올랐다. 드론은 새 떼를 추격해 활주로와 먼 지역으로 이동을 유도한 뒤 10여분 만에 이륙 장소로 돌아왔다.

관련기사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올 하반기 국내 최초로 공항에 조류퇴치용 드론을 도입할 예정이다. 조류퇴치용 드론은 인천공항 인근 조류서식지에서 ‘조류 충돌(bird strike)’ 방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특별 제작됐다. 이날 열린 시연회에는 순수 국내 기술력으로 제작된 조류퇴치용 드론이 처음 공개됐다. 조류퇴치용 드론은 근접비행과 정지비행 등 조류감지에 특화된 정찰 및 감시기능과 조류퇴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수풀이나 늪지대에 숨어 있는 조류 떼를 탐지해 천적 울음소리와 공포탄 소리로 새들을 몰아낸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항공기 조류충돌 사고는 매년 250건에 이른다. 사고 대부분은 공항 인근에 서식하는 조류와의 충돌로 발생한다. 조류충돌 사고는 항공기 기체손상이나 엔진고장을 일으켜 비상착륙을 하게 하는 등 항공기 안전을 위협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이에 따라 전 세계 공항들은 소음발생·포획 등 다양한 방법으로 조류퇴치에 나섰지만 한계에 부딪혀왔다. 공사 관계자는 “시속 370㎞로 운항 중인 항공기에 900g 무게의 새 한 마리가 충돌할 경우 항공기가 받는 순간 충격은 4.8톤에 이른다”며 “항공기와 충돌하거나 엔진으로 빨려 들어갈 경우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공사는 올 하반기 조류퇴치용 드론을 현장에 도입해 다양한 부분에 활용할 방침이다. 공사 관계자는 “조류퇴치뿐 아니라 그간 접근이 어려웠던 지역의 조류서식지 생태조사 및 빅데이터 구축 등 야생 조수 관리에도 드론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공항 물류단지 외곽 울타리 경비와 관내 불법주차 차량 적발 등에도 드론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종도=최성욱기자 secret@sedaily.com

최성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