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시 ‘최저등급’ 없어지나... 수능 영향력 축소 수순

교육부, 대학에 최저등급 축소·폐지 권고

“학생 부담 줄여야…교사추천서도 사실상 불필요"

수능 절대평가 전환 전 영향력 감소 예상

2018 대학수학능력시험 다음 날인 지난해 11월 24일 서울 서초구 서초고등학교에서 수능을 치른 수험생들이 가채점을 하고 있다./송은석기자2018 대학수학능력시험 다음 날인 지난해 11월 24일 서울 서초구 서초고등학교에서 수능을 치른 수험생들이 가채점을 하고 있다./송은석기자



2019학년도 수시모집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 최저학력 기준을 없애거나 완화하는 대학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수시모집과 수능 정시모집을 확실히 나눠 학생들의 부담을 줄인다는 취지다. 지금도 대입에서 비율이 30%에 불과한 수능이 최저등급 기준마저 사라질 경우 영향력이 현격히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5일 교육부는 각 대학에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세부사항을 안내하며 수능 최저학력 기준 축소·폐지를 권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은 대학이 고교교육을 내실화하고 학생·학부모의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입학전형을 바꿀 경우 교육부가 2년간 입학사정관 인건비, 전형 연구·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사업의 지원 대상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100점 만점) 중 학교교육 중심 전형 운영을 위한 ‘수능 성적의 합리적 활용 및 개선 노력’에 3점이 배정됐다. 각 대학에 발송한 안내문에서 교육부는 “수험 부담 완화 측면에서 폐지를 권장한다”며 “수시모집 내 수능 최저학력 기준 축소·폐지는 (사업 대상 선정 과정에서) 중요한 평가요소”라고 강조했다.


지난 2016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에 서울대·연세대·고려대·성균관대·이화여대 등 주요 대학과 전남대·경북대 등 지방 거점국립대 등 수험생들이 선호하는 대학이 다수 포함됐던 점을 고려하면, 교육부의 수능 최저학력 기준 축소·폐지 권고는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아울러 교육부는 ‘학생 서류제출 부담 완화 노력 정도’ 항목에서는 교사추천서 등 모집단위별 제출 서류가 적정한지 평가하겠다고 안내했다. 교육부 대입정책과 관계자는 “수시모집에서 수능 최저학력 기준 폐지와 제출서류 간소화를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것은 수험생의 부담을 줄이려는 목적”이라고 밝혔다.

교육부의 이번 조처는 절대평가 전환을 앞두고 수능 영향력을 줄이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정부는 2022학년도 대입 개편을 준비하면서 정시·수시모집 시기를 통합하고 수능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종 비율이 높은 대학도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걸고 있어 사실상 수능의 영향력이 막강하다”며 “정·수시 분리 상태에서는 수시모집과 수능을 확실히 나누는 것이 학생들의 부담을 줄이고 입시를 단순화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2018학년도 대입에서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한 학교는 125곳, 이를 통해 합격한 학생들은 모두 6만8,944명인 것으로 교육부는 파악하고 있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