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험

"외제차와 사고 났다 거덜 날라" 고액 車 대물보험 급증

車 대물보험 3억이상 비중 1년새 '37%→43%'

보험개발원 "외산차 수리비 부담 우려 때문"

2016년 9월 수억원짜리 고급 외제차들로 고속도로에서 떼 지어 시속 200㎞가 넘는 광란의 질주를 벌인 일당의 슈퍼카들이 경찰에 압수된 채 주차돼 있다./인천=연합뉴스2016년 9월 수억원짜리 고급 외제차들로 고속도로에서 떼 지어 시속 200㎞가 넘는 광란의 질주를 벌인 일당의 슈퍼카들이 경찰에 압수된 채 주차돼 있다./인천=연합뉴스



지난해 자동차보험 대물배상에 고액으로 가입한 차량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산차와 대물 교통사고를 냈다가 최소한 수백만의 수리비를 물어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풀이된다.

25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개인용 자동차보험 기준 지난해 대물배상 가입금액이 3억원 이상인 차량은 681만대로 전년 564만9,000대에서 20.6%(116만1,000대) 크게 늘었다. 이에 따라 3억원 이상 비중도 2016년 37.0%에서 지난해 43.0%로 늘었다.


반면 가입금액이 2억원인 차량 비중은 같은 기간 44.2%에서 41.6%로, 1억원은 14.7%에서 11.4%로 각각 줄었다. 대물배상은 자동차 사고가 났을 때 상대방 차량의 수리비를 보장해주는 보험이다. 외산차가 급증함에 따라 수리비 부담 우려에 가입금액을 고액으로 전환한 가입자가 크게 늘어난 것이라고 보험개발원은 설명했다.

관련기사



실제 국토교통부의 지난해 등록대수 현황을 보면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는 2,252만8,000대로 전년 대비 3.3% 증가한데 그친 반면 외산차 등록대수는 189만7,000대로 전년보다 15.1%나 늘었다. 외산차 등록대수가 급증하면서 외산차의 보험가입도 전년 대비로 16.4% 급증한 155만7,000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기준 외산차의 평균 차량가액은 3,530만원으로 국산차량 1,237만원의 약 3배 수준이다.

차량가액은 중고차의 가격이 포함돼 있어 신차 가격보다 낮다. 보험개발원이 중고차 시세와 물가 등을 고려해 분기마다 차량가액을 산출해 보험사에 제공하고 있다. 외산차 자체도 대물배상 가입금액이 고액인 경우가 많았다. 3억원 이상의 비중이 전체 외산차의 49.2%로, 국산차의 42.4%보다 6.8%포인트(p) 높았다.

대물배상 가입금액이 2억원인 차량(40.9%)까지 더하면 외산차의 90.1%가 대물배상 가입금액이 2억원 이상이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차량 고액화로 대물담보 배상의 보장이 강화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외산차가 늘어나고 첨단안전장치의 장착도 확산하면서 이 같은 추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