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문화

프랑스 오페라 미학의 절정..국립오페라 '마농' 내달 5일 개막

쥘 마스네의 오페라 ‘마농’이 29년 만에 한국 오페라 무대로 돌아온다.

국립오페라단(예술감독 윤호근)은 2018년 첫 번째 작품으로 4월 5일(목)부터 8일(일)까지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프랑스 대표 작곡가 마스네의 대표작 <마농>을 선보인다.


프랑스 소설가 아베 프레보의 자서전적 소설 「기사 데 그리외와 마농 레스코의 이야기」를 원작으로 하는 오페라 <마농>은 귀족 출신의 데 그리외 기사와 평민 출신의 소녀 마농의 우연한 만남과 격정적인 사랑을 다룬다. 사치와 향락, 화려한 삶을 동경하고 오직 사랑과 유희만을 끊임없이 욕망하는 젊고 매혹적인 마농의 짧고 뜨거웠던 삶과 그녀의 변화무쌍한 심리적 갈등이 작곡가 마스네 특유의 섬세하면서도 화려하고 관능적인 음악과 절묘하게 어우러진다.




국내 오페라 무대에서 <마농> 전막 오페라가 공연되는 것은 1989년 김자경오페라단의 공연 이후 29년 만이다. 1962년 창단 이래 다양한 레퍼토리에 도전해왔던 국립오페라단은 이번 무대를 통해 프랑스 오페라 미학의 절정으로 꼽히는 <마농>에 처음으로 공연한다.


총 5막의 그랜드 오페라이자 프랑스어 대사와 노래가 자유자재로 어우러지는 오페라코미크의 대표작인 <마농>은 세계 오페라 무대에 자주 오르는 작품이지만 규모가 매우 방대하고 작품 특유의 예술적 뉘앙스를 완성도 높게 표현하기가 쉽지 않아 국내 무대에서는 자주 만나기 어려웠다. 다양한 오페라 레퍼토리를 국내 오페라 무대에 소개하고자 하는 국립오페라단은 국내에서 자주 볼 수 없었던 작품인 만큼 이번 <마농>을 위해 세계 오페라 무대를 리드하고 있는 정상급 제작진과 출연진을 한 자리에 모아 세련되고 감각적인 뉘앙스가 물씬 풍기는 완성도 높은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관련기사



이번 작품의 지휘는 함부르크 국립극장, 베를린 도이치 오퍼 상임지휘자를 거쳐 낭시 오페라 및 낭시 심포니 리릭 오케스트라, 로렌 국립오페라 예술감독을 지내며 다양한 오페라 레퍼토리를 섭렵, 세계적인 오페라 전문 지휘자로 자리매김한 세바스티안 랑 레싱(현 미국 샌안토니오 심포니 오케스트라 음악감독)이 맡는다. 연출은 프랑스의 명연출가 뱅상 부사르가 맡는다. 무엇보다 오페라 <마농>의 극적 속도감과 젊음의 무모함이 가진 비극성에 주목한다. 특히 이번 한국 공연을 통해 마농이라는 여성을 피해자로서 묘사하지 않고 자신의 치명적인 매력이 가지는 힘을 알고 그 힘을 휘둘러서 원하는 것을 얻고자 했던 강한 여성으로 만드는 데 집중하고 마농을 둘러싼 인물들의 관계와 갈등을 더욱 두드러지게 묘사할 예정이다.

고난도의 테크닉과 드라마틱한 성량, 다양한 색깔의 목소리로 관객들을 사로잡을 열정의 주인공 마농 역은 루마니아의 신예 소프라노 크리스티나 파사로이우와 대한민국 대표 소프라노 손지혜가 맡아 열연한다. 지난해 국립오페라단이 공연한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야외오페라 < 동백꽃아가씨_La Traviata >에서 주역을 활약한 손지혜는 이번 무대를 통해 마농으로 새롭게 데뷔, 또다른 매력의 프리마돈나로 거듭날 예정이다.

마농과의 우연한 만남으로 불 같은 사랑에 빠져드는 기사 데 그리외 역은 스페인 출신의 테너 이즈마엘 요르디와 유럽 무대에서 각광받고 있는 테너 국윤종이 맡는다. 국윤종은 국립오페라단 무대에 처음 데뷔하는 것은 물론 이번 무대에서 인생 첫번째 <마농>에 도전한다. 마농의 사촌 오빠로 마농을 이용해 화려한 삶을 꿈꾸면서도 마농의 사랑을 동정했던 레스코 역은 한국의 중견 바리톤 공병우가 맡는다. 그 외에도 데 그리외 백작 역의 베이스 김철준을 비롯하여 소프라노 신효진, 이지혜, 메조소프라노 김윤희, 테너 노경범, 베이스바리톤 우경식, 윤규섭 등 정상급 성악가들이 한 무대에 올라 풍성한 무대를 선사한다.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그란데오페라합창단이 함께한다.

정다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