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김정은·조선' 인터넷 검색 막히고 게시글까지 모두 삭제

중국정부 '北최고위급 방중설' 언론통제 강화

관영언론은 ‘북중우호’ 강조·부정적 보도 삭제

베이징 건널목에서 목격된 북한 열차 추정 기차 /연합뉴스베이징 건널목에서 목격된 북한 열차 추정 기차 /연합뉴스



지난 26일 북한 고위급 인사가 중국 베이징(北京)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중국 당국이 돌연 언론 통제에 나섰다. 관련 미디어매체들의 보도와 인터넷 게시글까지 통제하고 있다.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에는 26일 오후까지만 해도 ‘조선’이란 검색어를 치면 북한 고위급 인사가 타고 온 것으로 보이는 특별열차 등의 사진 등이 떴으나 당일 저녁부터 모두 삭제됐으며, 아예 검색조차 되지 않고 있다. 또한 웨이보 댓글에서도 ‘조선’이라는 검색이 안 되며, 웨이보에서 ‘김정은 방중설’과 관련된 글 또한 모두 사라졌다.


27일에도 북한 인사의 방중 관련 게시글이 올라오면 곧바로 삭제되고 있다. 바이두(百度)에서는 김정은 위원장에 대한 비하 표현인 ‘진싼팡’(金三반·김씨네 3대 뚱보)이 여전히 검색되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중국 당국의 통제 아래 있는 관영언론들도 북한 고위급 인사 방문과 관련해 어떠한 보도도 하지 않고 있다. 눈에 띄는 점은, 그동안 중국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이행 참여로 대북 비판이 허용됐으나 이제는 기존의 대북 부정적인 보도는 삭제된 채 북중우호관계를 강조하는 글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미 관영 차이나데일리와 환구시보(環球時報)는 이달 중순 사설을 통해 한중일이 북·중 우호를 방해해선 안 된다는 글을 올린 바 있으며, 전날 북한 최고위급의 방중설을 계기로 그와 유사한 글이 몰린다.

베이징 소식통은 “인터넷에서 북한 인사의 방중 관련 게시글이 삭제되고 관영 매체에서 보도가 없는 것은 중국 당국의 통제 때문으로 보인다”면서 “이는 중국 당국이 공개하길 꺼린다는 의미이며 나중에 공식 확인을 해주기 전까지는 이런 상태가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