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봄 스며드는 우리집] 한샘 '이노 패브릭' 소파로 디자인·건강 두토끼 잡아





한샘 가구들로 꾸민 거실. /사진제공=한샘한샘 가구들로 꾸민 거실. /사진제공=한샘


한샘은 올봄 신혼 인테리어 트렌드로 ‘소확행(小確幸)’을 꼽았다. 이 용어는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작지만 확실하게 실현 가능한 행복’을 뜻한다. 한샘은 24평형 주택에 거주하는 맞벌이 신혼부부가 둘만의 공간에서 소소한 행복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신혼 공간을 제안한다.

거실 공간은 체적인 톤을 흰색·분홍 등 밝은 색상으로 구성해 따듯한 느낌이 들도록 했다. 가구는 깔끔한 디자인으로 안정감을 주는 모던 스타일 제품이 눈길을 끈다. 거실 한쪽에 녹색식물을 두면 거실에 생기를 불어넣고 공기정화에도 탁월한 역할을 한다.


‘밀란 302’ 소파는 기존 패브릭 소파의 단점을 보완한 ‘이노 패브릭’을 적용해 눈길을 끈다. 인조가죽(PU) 소재에 패브릭 패턴을 입혀 일반 패브릭 소재처럼 보풀이 발생하지 않고 방수 기능이 있어 오염에 강하다. 먼지가 들러붙지 않아 집진드기를 억제하고 호흡기 질환을 예방한다. 밀란 302는 좌방석 하단에 다양한 물건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수납 소파다. 부피가 큰 여행용 캐리어부터 계절옷·책·취미용품 등을 넣어둘 수 있다.

한샘은 침실 공간을 부부의 일상이 여행처럼 즐거울 수 있도록 호텔 스타일로 꾸몄다. 해외여행 인구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복잡한 여행지 대신 집 안에서 휴식을 즐기는 ‘스테이케이션(stay+vacation)’ ‘홈캉스(home+vacance)’ 트렌드도 주목을 받고 있다.


‘유로 501’은 침실을 온전한 휴식과 수면을 위한 공간으로 연출한다. 침대 헤드, 협탁, 화장대 등의 높이와 색상을 동일하게 만들었는데 벽에 붙여 일렬로 배치하면 마치 호텔 스타일의 맞춤가구를 주문한 것처럼 통일감 있는 공간을 연출한다.

관련기사



침대 헤드와 협탁의 간접조명은 호텔같이 아늑한 분위기를 만든다. 헤드 상단의 조명은 30분 뒤 자동으로 꺼지는 기능이 있어 자연스러운 취침을 돕는다. 또 협탁에 매립된 콘센트를 활용하면 잠들기 전까지 노트북·스마트폰 등 전자기기 사용도 가능하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서재는 독서나 업무용 공간이었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취미생활을 즐기고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한샘은 자유자재로 조립 및 변형 가능한 모듈형 가구 ‘에딧(EDIT)’으로 나만의 개성이 담긴 서재 공간을 제안한다. 12가지 크기의 철재 프레임에 선반·서랍 등을 조합해 책장, 장식장, 다용도장, 가드닝 선반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타공판이나 옷걸이 등 액세서리 10종도 추가 구매할 수 있다.

맞벌이 부부에게 출근을 준비하는 아침 시간은 전쟁과도 같다. 하지만 동선을 고려해 효율적으로 구성한 드레스룸은 부부의 아침 시간을 더욱 여유롭게 만든다.

한샘 ‘바흐 드레스룸’은 긴장·짧은장·서랍장 등 다양한 모듈을 조합해 고객의 동선에 맞춰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제품이다. 드레스룸 가구에 딱 맞는 사이즈의 박스·드레스키퍼·디바이더 등을 활용하면 더욱 편리하다. 액세서리 서랍장을 활용하면 마치 명품숍에 온 듯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상부 서랍장은 브론즈 유리 상판을 적용했는데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뿐 아니라 선글라스·스카프 등 액세사리를 한눈에 찾기 쉽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