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CJ E&M, 비정규직 270명 정규직으로…프리랜서 용역료도 인상

‘방송산업 상생방안’ 발표…작가 집필계약서 의무화

CJ E&M이 비정규직 27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프리랜서 연출자와 작가의 용역료를 현행보다 최대 50% 인상한다.CJ E&M이 비정규직 27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프리랜서 연출자와 작가의 용역료를 현행보다 최대 50% 인상한다.



CJ E&M이 비정규직 27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프리랜서 연출자와 작가의 용역료를 현행보다 최대 50% 인상한다.

CJ E&M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방송산업 상생방안’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방안을 통해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인원은 지난해 CJ E&M 전체 파견직 인력의 91%, 전체 임직원의 15% 정도다.


CJ E&M은 “정규직 전환을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파견 인력 대상 인사제도 설명회를 실시하고 채용 프로세스를 진행했다”며 “프리랜서를 선호하는 등의 개인적인 사유나 최소 자격요건 미충족자를 제외한 모든 인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또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1∼3년차 프리랜서 연출자와 작가 용역료를 최대 50%까지 인상한다. CJ E&M은 상반기 내로 작가들의 이력 관리를 위한 내부 전산 시스템을 구축해 이들의 공정한 보수체계 수립과 체계적인 경력관리를 도울 예정이다.

아울러 CJ E&M은 계약에 따른 명확한 보수체계를 시장에 도입하기 위해 용역 계약을 맺는 모든 작가를 대상으로 방송작가 집필계약서를 제정하고 체결을 의무화했다. 외주제작사와의 상생 발전을 위해 정부가 4월 1일부터 권고하는 ‘방송프로그램 제작 표준계약서’ 내용도 그대로 반영해 시행할 예정이다.

이번 방안에는 제작 현장 스태프들의 사고나 부당한 처우를 방지하기 위해 프로그램별 제작 스태프 전 인력을 상해보험에 가입하게 하고 성희롱·갑질·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관련 내용을 담은 가이드를 제작해 출연자, 스태프 대상으로 배포하는 내용도 담겼다. CJ E&M은 “외주 제작사, 방송작가, 프리랜서 연출 등 업계 종사자 간 상생을 토대로 산업 발전 기반을 마련해 더 경쟁력 있는 한류 콘텐츠를 제작하고 확산하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