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말부터 불거진 은행권 채용비리 수사 여파로 올 상반기 주요 시중은행의 채용일정이 늦어지면서 취업준비생들의 불안감도 크다. 자칫 하반기까지 영향이 미치면 1년을 더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서다. 실제로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등 국내 주요 시중은행은 올 상반기 채용 일정을 아직 잡지 못하고 있다. 주요 은행 가운데선 농협은행과 기업은행만 상반기 채용을 실시했다.
그렇다고 낙담하긴 이르다는 게 은행권 인사 담당자들의 설명이다. 조만간 상반기 채용을 준비하는 은행들이 나올 수 있고, 상반기 채용이 어렵더라도 하반기에는 주요 은행들이 상반기 미채용 분까지 포함해 신입 행원을 모집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은행 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주요 은행들은 그동안 상반기와 하반기 두 차례로 나눠 채용을 실시해왔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주요 은행들이 매년 500명 안팎을 신규 채용해 왔는데 지난해 고(高) 실적을 내면서 채용 확대 부담이 커져 신입 행원을 늘릴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채용비리 수사 여파와 별개로 올 하반기 은행권 취업에 ‘큰 장’이 설 수 있다는 것이다.
검찰의 채용비리 수사가 어느 정도 마무리되면 은행들도 채용과정에 대한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바뀐 환경에 대한 대비도 필요해 보인다.
우선 필기시험의 부활이다. 주요 은행들은 필기시험을 아예 치르지 않고 서류 및 인·적성, 면접 위주로 신입 직원들을 선발해왔다. 성적 순으로 직원을 뽑을 경우 은행이 요구하는 다양한 능력을 가진 직원들을 채용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채용비리 의혹의 여파로 주요 은행들이 검찰의 수사까지 받으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올해는 대다수 은행이 어떤 식으로든 필기 시험을 치를 가능성이 크다는 게 금융권의 전망이다. 실제로 우리은행은 올해 공채에서 필기시험을 도입하기로 했다. 필기시험에는 경제·금융상식 분야 객관식 시험과 인적성검사 등이 포함된다. 필기 시험 전(全) 과정은 외부 업체에 맡기는 방안이 유력하다.
그동안에는 남녀차별이나 연줄에 의한 외부의 채용청탁 가능성 등에 대한 의심이 없지 않았지만, 올해는 취준생들이 그런 외적인 변수를 전혀 신경 쓰지 않고 심적으로도 그 어느 때 보다 ‘100% 자기실력’에 따라 당락이 결정되는 ‘클린채용’을 체감하게 될 전망이다.
이밖에 우리은행 내부에 ‘채용관리시스템’을 구축해 평가과정을 100% 전산화하는 한편 연필을 활용한 수기평가 등 향후 점수 조작이 가능한 요소를 원천 제거할 계획이다. 또한 외부 면접관을 대폭 확대해 면접관의 50% 이상을 외부에서 충원할 방침이다.
상반기 채용을 진행하고 있는 IBK기업은행은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문제 출제를 포함한 필기전형 전 과정을 외부기관에 맡기고 모든 문제를 객관식으로 출제하기로 했다. 필기 시험은 전 응시자가 공통으로 치르는 ‘직업기초능력평가’와 모집 분야별로 관련 지식과 사회문제 등을 묻는 ‘직무수행능력평가’로 나뉜다. 면접위원 절반은 외부위원으로 채울 예정이다.
이 같은 필기시험 도입은 모든 은행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은행연합회와 은행권은 공동 가이드라인 ‘채용 절차 모범 규준’ 마련 작업에 착수했으며 여기에서 필기시험 도입을 권고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필기시험을 치르지 않았던 신한은행이나 대다수 외국계 은행들도 올해부터는 필기시험을 실시해야 한다.
이 때문에 올해 은행 입사를 준비하고 있는 취업준비생들은 경제·금융 상식 공부에 조금 더 시간을 할애하는 게 유리하다. 국내 은행의 한 채용업무 담당자는 “앞으로 서류 전형의 합격자를 늘려 서류에서 특별한 결격 사유가 없다면 필기시험 응시 기회를 많이 주는 쪽으로 방향을 잡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류보다 필기시험이 당락에 더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필기 시험에서는 단순한 지식을 묻는 질문보다 경제 및 금융 실무와 연관된 문제가 출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신입 행원이 현장에서 실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조치다. 예를 들면 최근 은행 규제로 새롭게 도입된 총체적부채상환능력(DSR)의 정의를 묻는 문제보다 은행 창구에서 DSR을 실제 적용하는 상황을 전제로 실무 능력을 판단하는 질문이 나올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