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딱딱한 과일 추락 ... 1인 가구·간편 식사가 바꾼 풍경




1인 가구 및 고령 인구 증가 등으로 먹거리 풍경이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과일 시장도 예외는 아니다. 롯데마트가 최근 3년간 과일 매출현황을 살펴본 결과 수입 과일인 바나나를 비롯해 딸기·감귤 등이 ‘빅3’를 형성하며 매해 매출이 상승하고 있다. 반면 한때 전통 강자였던 사과는 4위를 지속 유지하고 있지만 매출 비중이 계속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는 10위권에 이름도 올리지 못했다. .

롯데마트의 최근 3년간 과일 전체 매출을 분석해보면 이 같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바나나는 전체 과일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1.3%로 3년 연속 1위 자리를 지켰다. 매출 비중도 2015년 10.3%, 2016년 10.9% 등으로 매해 상승하고 있다. 2위인 딸기와 3위인 감귤 역시 매해 매출 비중이 증가하는 등 ‘바나나·딸기·감귤’ 의 빅 3 구조가 굳어지고 있다.


눈길을 끄는 것은 사과의 추락이다. 사과는 최근 3년간 4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매출 비중이 해마다 줄고 있다. 2015년 9.2%에서 지난해 8.6%로 내려앉았다. 3위인 딸기와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있다. 배는 10위권에서 찾아볼 수조차 없다.

관련기사





이은승 롯데마트 신선식품부문장은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먹기 간편한 딸기·바나나·감귤 등이 칼로 깎아 먹는 사과·배보다 수요가 늘고 있다”며 “고령 인구의 증가 역시 사과처럼 딱딱한 과일보다는 바나나처럼 부드러운 과일에 대한 선호를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수입 과일 물량은 해마다 늘고 있다. 수입처 역시 다양해 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 롯데마트에서의 수입 과일 매출 비중은 33.3%. 2년 전보다는 1.3%포인트 증가했다.

수입 과일만 놓고 보면 바나나가 지난해 11.3%를 차지하며, 2위인 체리(4.7%)의 2배가 훌쩍 넘겼다. 오렌지(4.2%), 키위(2.6%), 청포도(2.1%) 순이다. 특이한 것은 7위 아보카도다. 연도별은 물론 수입 과일 순위에도 없던 아보카도는 지난해 불쑥 7위로 부상했다. 수입량도 2010년 457톤에서 2017년 5,979톤으로 13배 넘게 늘어났다.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