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가 가나 해역 우리 국민 피랍 사건에 대해 언론에 엠바고(보도자제) 요청을 했다가 갑자기 철회하고 사건을 공개한 것과 관련, 대응 방식의 적절성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 달 27일 가나 해역에서 참치 조업 중이던 마린 711호의 한국인 3명이 신원 불상의 세력에게 피랍됐다.
외교부는 사건 발생 당일 우리 국민의 안전이 걸린 문제라는 점을 들어 언론에 엠바고를 요청했다. 사건이 외부에 크게 공개될 경우 납치 세력이 부담을 느껴 인질에 더 큰 위협을 가할 수 도 있고, 반대로 이를 악용해 협상 과정에서 몸값을 높인 사례들이 과거에 있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납치 세력이 국내 언론과 인터뷰를 먼저 시도한 사례도 있었다. 이 때문에 외교부는 납치 사건이 발생하면 ‘외교부 해외피랍사건 매뉴얼’에 따라 보도 통제를 요청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외교부는 이번 사건과 관련 최초 엠바고 요청 시점에서 4일이 경과 한 지난 달 31일 오후 7시께 갑자기 엠바고 해제를 결정하고, 보도자료 형식을 통해 피랍 사실 및 문무대왕함 파견 사실을 알렸다. 피랍 국민이 어디로 끌려 갔는지, 신변은 안전한 지, 납치 세력이 누구인지 등 구체적인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 이례적으로 공개한 것이다.
이에 대해 2일 외교부 당국자는 “현지 언론에서 상세한 보도가 여러 차례 있었다. 특히 가나에서는 해군 당국자가 이번 사건에 대해 사실 관계를 얘기하기도 했고, 트위터에도 계속 게재 되는 점 등에 유의를 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민 안전, 정부의 의무, 사건 공개 시 장단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엠바고 문제를 고심했다”고 말했다.
갑작스러운 엠바고 해제 사유에 대해 청와대 지시가 있었던 게 아니냐는 질문에는 거듭 “아니다”라며 “외교부가 주관부서”라고 답했다.
앞서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오전 기자들에게 “(가나 피랍 관련) 공개수사로 전환하는 시점이 언제가 좋을지에 대해서는 또 다른 판단이 필요했었다”며 청와대가 공개하기로 판단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또 이 관계자는 추측성 보도를 피하기 위해 피랍 국민 소재지가 파악 안된 상황에서 기사화가 되는 걸 피하기 위한 엠바고가 아니냐는 질문에 “일반적으로 유괴, 납치사건은 보도 나가면 공개수사로 전환하는 건 상식”이라고 말했다. 이는 당초 외교부가 피랍 관련 외신 보도가 있더라도 국내 언론에 엠바고 유지를 해달라고 요청했던 것과도 맞지 않는 부분이다.
문무대왕함 파견의 유용성을 두고도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날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오후 시간 기준으로 현재 문무대왕함은 탄자니아 인근 해역을 통과하고 있다”면서 “4월 16일경 사고 해역에 도착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신화통신 등 외신에서는 이미 피랍 국민들이 나이지리아 남부 지역으로 끌려갔다는 추측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서도 외교 당국자는 “간접적 압박 요인으로 기대한다”고 답했다.
한편 외교부는 차후 납치 세력의 정보가 구체화하고 협상이 가능해질 경우 “협상에는 가족과 선사가 나설 것”이라며 “정부는 측면 지원한다”고 답했다.